释义 |
- 发音
- [나듣기]
- 活用
- 내가[내가듣기], 나의[나의듣기](내[내듣기]), 나에게[나에게듣기](내게[내게])
- 词类
- 「대명사」 代词
我 말하는 사람이 친구나 아랫사람에게 자기를 가리키는 말. 说话人在朋友或晚辈面前用来指称自己。 - 게으른 나.
- 잘생긴 나.
- 나의 가족.
- 나의 생각.
- 나의 소망.
- 나의 이름.
- 나 같은 사람.
- 나는 학생이다.
- 나를 좋아하다.
- 나를 거절하다.
- 나보다 멋지다.
- 나에게 다가오다.
- 나에게 말하다.
- 나와 결혼하다.
- 나는 대한민국 서울에서 태어났다.
- 당신과 나의 뜻이 서로 같으니 우리 함께 힘을 합쳐 봅시다.
- 나로 말할 것 같으면 세상의 온갖 어려움을 다 겪은 사람이야.
- 가: 너, 지난번에 만났던 여자하고는 잘 되고 있냐?
나: 글쎄. 나는 그쪽이 마음에 들었는데 상대방은 어떤지 잘 모르겠어. - 가: 너의 장래 희망은 뭐니?
나: 나는 나중에 커서 선생님이 되고 싶어. - 가: 나만 자리에 앉아 있어도 괜찮겠어?
나: 물론이지. 넌 다리가 아프니 앉아 있으렴. - 가: 너 혹시 돈 좀 있니? 지갑을 안 가져왔네.
나: 어쩌지? 지금 나도 돈이 없는데. 惯用语·谚语5 - 惯用语
- 나 몰라라 하다
不理不睬;见死不救;撂挑子 어떤 일에 무관심한 태도로 아무런 간섭을 하지 않고 모르는 체 하다. 对某事不关心不过问,装作没看见。 - 낯선 사람이 내 발을 밟아 놓고 사과도 없이 나 몰라라 하고 그냥 지나갔다.
- 惯用语
- 나 죽었소 하다
装死 불평하거나 의견을 내세우지 않고 있어도 없는 듯이 순순히 따르다. 不抱怨或不提意见,若有若无乖乖地顺从。 - 가: 나 말이야, 다음 주에 회사에 첫 출근을 해.
나: 그래. 회사에 처음 들어가서는 그저 나 죽었소 하면서 지내는 게 제일 좋아. - 谚语
-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
自己不想吃,也舍不得给别人;自私贪心 자기에게 소용이 없으면서도 남에게는 주기 싫은 마음이다. 对自己没有用,但也不想让给别人。 - 가: 이 옷은 내가 잘 안 입는 것이긴 하지만 막상 친구에게 주려니깐 왠지 망설여지네.
나: 그게 바로 나 먹기는 싫어도 남 주기는 아깝다는 마음이야. - 参考词
- 저 먹자니 싫고 남[개] 주자니 아깝다
- 谚语
- 나는 바담 풍 해도 너는 바람 풍 해라
即使我说错,你也要念准;以其昏昏,使人昭昭 자신은 잘못된 행동을 하면서 남에게는 잘하라고 요구하다. 自己做错,却要求别人做好。 - 가: 저 선생님은 자신은 수업에 지각하면서 학생들에게는 늦지 말라고 야단을 쳐.
나: 그 선생님, 완전히 나는 바담 풍 해도 너는 바람 풍 해라 하는 식이네. - 谚语
- 날 잡아 잡수 한다
任人宰割;任所欲为 하고 싶은 대로 하라고 상대방에게 자기 몸을 내맡기다. 任凭对方对自己想怎么做就怎么做。 - 가: 지수가 완전히 의욕을 상실하고 마음대로 하라며 늘어져 있어.
나: 그러게. 정말 날 잡아 잡수 하고 있는 상태인 것 같네. 1.(无对应词汇) 1.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선택함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虽不满意而选择。 - 심심한테 영화나 보러 갈래?
- 어디 가서 차나 한잔하시죠.
- 야단칠 때 치더라도 아이 이야기나 들어 보죠.
- 가: 날씨도 좋은데 드라이브 가자.
나: 아냐. 피곤하기도 하고 난 집에서 숙제나 할래. 参考 받침 없는 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어, 연결 어미 ‘-아’, ‘-게’, ‘-지’, ‘-고’ 등의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2.(无对应词汇) 2. 사실은 그렇지 않지만 그런 것처럼 행동함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其实不是那样而装作那样。 - 그들은 마치 서로 원수나 되는 듯이 만나기만 하면 싸운다.
- 민준이는 자기가 마치 전문가나 되는 것처럼 아는 체를 한다.
- 지수는 마치 내가 벌레나 되는 듯이 경멸의 눈빛으로 쳐다보았다.
- 가: 유민이가 무슨 절친한 사이나 되는 것처럼 나한테 친한 척을 하더라.
나: 그래? 무슨 부탁할 일이라도 생겼대? 参考 주로 빈정거리는 의미를 나타낼 때, 받침 없는 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3.(无对应词汇) 3. 수량이 예상되는 정도를 넘거나 꽤 크거나 많음을 강조하는 조사. 助词。强调数量超出预期,或者相当大或多。 - 우리 팀은 창단 후 십 회나 우승을 차지하였다.
- 너는 계란을 그렇게나 많이 사서 언제 다 먹을래?
- 그 배우의 사인을 받으려는 팬들의 행렬이 삼십 미터나 이어졌다.
- 가: 넌 똑같은 옷을 왜 세 개나 샀니?
나: 색깔이 다 다르잖아. 参考 주로 놀람의 의미를 나타낼 때, 수량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받침 없는 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4.(无对应词汇) 4. 수량이나 정도를 대강 짐작할 때 쓰는 조사. 助词。用来大约估计数量或程度。 - 이 등산로는 몇 미터나 되나요?
- 우리나라의 산은 몇 개나 될까?
- 잠수를 하면 몇 초나 견딜 수 있을까?
- 가: 지금 몇 시나 되었나요?
나: 세 시쯤 되었을 거야. 参考 수량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받침 없는 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5.(无对应词汇) 5. 많지는 않으나 어느 정도는 됨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虽不是很多而多少有一点。 - 김 씨는 땅 마지기나 있다고 거들먹거린다.
- 어머니는 사위가 온다고 닭 마리나 잡아 대접했다.
- 아이도 아니고 나이나 먹은 어른들이 이성적으로 행동해야죠.
参考 수량의 단위나 정도를 나타내는, 받침 없는 말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6.(无对应词汇) 6. 여러 가지 중에서 모두를 포함함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各种事物都包括在内。 - 인간은 누구나 평등하다.
- 승규는 야구나축구나 다 잘한다.
- 그 과자는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흔한 것이었다.
- 가: 졸업이 다가오니까 장래가 걱정이 돼. 너는 어때?
나: 졸업 앞두고 불안한 건 너나나나 다 비슷하지, 뭐. 参考 받침 없는 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7.(无对应词汇) 7. 말하는 사람이 인용되는 내용에 별 관심이 없거나 가벼운 의문을 나타낼 때 쓰는 조사. 助词。表示对于被引用的内容,说话人不太有关心或略有怀疑。 - 자기가 잘못해 놓고 나보고 먼저 사과하라나?
- 왜 전화를 안 받았냐니까 아팠다나어쨌다나.
- 도와주러 갔더니 귀찮으니까 가라나뭐라나.
- 가: 저번에 승규가 너한테 왜 그렇게 화를 냈대?
나: 몰라. 내가 따졌더니 취해서 기억이 안 난다나. 参考 주로 빈정거리거나 불만을 나타낼 때, 종결 어미 ‘-다’, ‘-ㄴ다’, ‘-는다’, ‘-라’ 등에 붙여 쓴다. 8.(无对应词汇) 8. 둘 이상의 사물을 같은 자격으로 이어 주거나 그중에 하나만이 선택됨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将两个以上的事物以相同的条件连接,或只选其一。 - 가재는 호수나 민물에서 산다.
- 담배나 술은 건강에 무척 해롭다.
- 포장지는 주로 종이나 비닐로 만든다.
- 가: 출출한데 간식으로 케이크나 빵 같은 거 먹을래?
나: 케이크가 좋겠다. 参考 받침 없는 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9.(无对应词汇) 9. 어떤 대상이 최선의 자격 또는 조건이 됨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对象达到最好的资格或条件。 - 언니나 되니까 너한테 양보하지.
- 나나 되니까 그 일을 해결할 수 있는 거다.
参考 받침 없는 명사, 대명사, 수사, 또는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이나
(나은데, 나아, 나아서, 나으니, 나으면, 나은, 나을, 나았다)→ 낫다2 (나고, 나는데, 나, 나서, 나니, 나면, 난, 나는, 날, 납니다, 났다, 나라)→ 나다1, 나다2 (나는데, 나니, 난, 나는, 날, 납니다)→ 날다 (나아, 나아서, 나으니, 나으면, 나은, 나을, 나았다, 나아라)→ 낫다1 1.(无对应词汇) 1. 앞에 오는 말과 뒤에 오는 말의 내용이 서로 다름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连接语尾。表示前句和后句的内容相反。 - 지수는 어렵게 사나 항상 표정이 밝다.
- 이 가방이 조금 무겁기는 하나 튼튼하다.
- 이 가게의 물건은 값은 싸나 질이 안 좋다.
- 제가 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열심히 해 보겠습니다.
- 가: 애야. 네가 무슨 돈이 있다고 선물을 샀니?
나: 제가 지금 비록 학생이나 할아버지께 감사하는 마음에 준비했어요. 参考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등의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으나
2.(无对应词汇) 2.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을 선택해도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连接语尾。表示多个中选哪一个都没关系。 - 부모들은 앉으나서나 자식들의 걱정뿐이다.
- 비가 오나 안 오나 난 내일 바다를 보러 갈 거야.
- 겨울인데 온도가 조금 올라가나내려가나 추운 건 마찬가지야.
- 가: 승규는 오늘도 연습하러 안 왔네.
나: 그렇게 연습하면 하나마나 똑같지. 그냥 오지 말라고 해. 参考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등의 뒤에 붙여 쓰고, 주로 ‘-나 -나’로 쓴다. - 参考词
- -으나
3.(无对应词汇) 3. 앞의 말이 나타내는 상태를 강조할 때 쓰는 연결 어미. 连接语尾。强调前面的词语所表示的状态。 - 나는 어머니의 크나큰 사랑에 눈물이 났다.
- 승규는 머나먼 길을 걸어왔더니 무척 피곤했다.
- 가: 오늘은 정말 기나긴 하루였어.
나: 응. 정말 많은 일이 있었어. 参考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형용사 뒤에 붙여 쓰고, 주로 ‘-나 -ㄴ’으로 쓴다. - 全部参考
- 주로 동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1.(无对应词汇) 1. (예사 낮춤으로)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轻卑)终结语尾。表示疑问。 - 요즘 일이 그렇게 많나?
- 장 군은 올해 졸업하나?
- 자네는 바둑을 둘 줄 아나?
- 자네들은 언제 한국으로 돌아가나?
- 여보게, 거기 있는 책 좀 들어 주겠나?
- 가족과 멀리 떨어져 생활하느라 얼마나 외롭겠나?
- 가: 선생님, 그동안 안녕하셨습니까?
나: 그래. 자네 소식은 들었네. 얼마나 고생이 많았나? 2.(无对应词汇) 2. (두루낮춤으로) 물음이나 추측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普卑)终结语尾。表示疑问或推测。 - 이제 이 일을 어떡하나?
- 어제 무슨 일이 있었나?
- 오늘 그 사람이 오나?
- 밖에 눈이 오나?
- 승규가 땀을 많이 흘리길래 방이 더웠나 했어.
- 지수가 안색이 좋지 않아서 많이 아팠나 싶었지.
- 아무리 기다려도 이름을 안 부르길래 나만 빠졌나 했어.
- 복도가 시끌시끌한 걸 보니 옆 반 수업이 일찍 끝났나 보다.
- 형이 왜 저렇게 화가 났나 싶어서 나는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 가: 어제 내가 민준이한테 화를 냈는데 좀 심했나 봐.
나: 그래서 오늘 민준이가 너한테 한마디도 안 하는구나? 参考 주로 ‘-나 하다', '-나 싶다', '-나 보다’로 쓴다. 혼잣말로도 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