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법듣기]
- 活用
- 법이[버비듣기], 법도[법또듣기], 법만[범만듣기]
- 派生词
- 법적2 , 법적1
- 词类
- 「명사」 名词
法律 모든 국민이 반드시 지켜야 하는, 나라에서 만든 명령이나 규칙. 所有国民必须要遵守的,国家制定的命令或规则。 - 법의 개정.
- 법의 권위.
- 법의 보호.
- 법의 심판.
- 법의 집행.
- 법이 공표되다.
- 법이 마련되다.
- 법이 시행되다.
- 법을 개정하다.
- 법을 마련하다.
- 법을 만들다.
- 법을 무시하다.
- 법을 시행하다.
- 법을 어기다.
- 법을 제정하다.
- 법을 존중하다.
- 법을 준수하다.
- 법을 지키다.
- 법을 집행하다.
- 대한민국에 사는 모든 국민은 법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 김 의원은 선거 과정에서 법을 어긴 죄로 경찰에 구속되었다.
- 최근 음주 운전과 관련된 법이 강화되면서 음주 운전에 의한 교통사고가 줄었다.
- 가: 안 잡힐 것 같더니 흉악범이 드디어 잡혔대.
나: 나쁜 짓을 한 사람은 언젠가는 법의 심판을 받게 되어 있어. 惯用语·谚语2 - 惯用语
- 법 없이 살다
没有法律也能活;光明磊落 법이 없이도 나쁜 짓을 하지 않을 정도로 사람이 바르고 착하다. 人非常正直善良,没有法律也不会做坏事。 - 이 동네 사람들은 모두 순박하고 착해서 법 없이도 살 사람들이었다.
- 법 없이도 살 사람이라던 그가 무서운 범행을 저지를 줄은 꿈에도 생각 못 했다.
- 가: 옆 방 사람은 어때?
나: 참 예의 바르고 착해. 법 없이도 살 사람이야. - 谚语
-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
1.王法远,拳头近;天高皇帝远 1. 사람이 화가 나면 말이나 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생각을 하지 않고 먼저 폭력을 쓰게 된다는 말. 人生气时不会想着用语言或法律解决问题,先会使用暴力。 - 아무리 주먹은 가깝고 법은 멀다고 하지만 사람을 이렇게 때려 놓으면 어떻게 하니?
2.王法远,拳头近;天高皇帝远 2. 때로는 법보다는 폭력을 써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더 나을 때도 있다는 말. 有时候,比起法律使用暴力会更容易解决问题。 - 너는 맞고 가만히 있었니?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고 그럴 땐 가만히 맞고 있는 것이 더 바보 같은 짓이야.
- 가: 불량배 같은데 경찰에 신고하자.
나: 아니, 잠깐만 기다려.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깝다고 저런 놈들은 우선 내가 혼을 좀 내 줘야겠어. - 发音
- [법듣기]
- 活用
- 법이[버비듣기], 법도[법또듣기], 법만[범만듣기]
- 派生词
- 법하다
- 词类
- 「의존 명사」 不完全名词
1.(无对应词汇) 1. 어떤 일을 하는 방법이나 방식. 做某事的方法或方式。 - 우리는 지도 보는 법을 몰라 산에서 길을 잃고 헤맸다.
- 승규는 음악 학원을 다니면서 악기 다루는 법을 배우게 되었다.
- 그는 어디서 돈 버는 법을 익혔는지 일 년 만에 큰 부자가 되었다.
- 군인뿐만 아니라 총 쏘는 법도 모르는 아이들과 여자들도 전쟁에 나섰다.
- 가: 붓 잡는 법도 제대로 모르면서 그림을 그리겠다고?
나: 이제부터 열심히 배우겠으니 제발 저를 받아주세요. 2.(无对应词汇) 2. 마땅히 해야 하는 바른 행동. 应当做的正确行为。 - 사람은 서로 돕고 사는 법이라며 그는 나에게 큰 도움을 줬다.
- 어떠한 경우라도 다른 사람의 약점을 남에게 이야기하는 법이 아니다.
- 친한 사이라도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서로 예의를 갖추어야 하는 법이다.
- 가: 아무리 화가 나도 그렇게 소리를 지르는 법이 어디 있어?
나: 미안해. 아까는 나도 모르게 그만 실수했어. 3.(无对应词汇) 3. 정해진 사실이나 규칙. 规定的事实或规则。 - 여자라고 해서 남자보다 힘이 약하라는 법은 없다.
- 반드시 자율학습을 해야 한다는 법은 없지만 학생들은 모두 교실에 남아 있었다.
- 죽으라는 법은 없는지 새로 시작한 사업이 잘 되어서 점점 형편이 좋아지고 있다.
- 가: 네가 어쩌다가 이 등을 했냐?
나: 제가 늘 일 등만 하라는 법은 없잖아요. - 가: 너는 나이가 어려서 대회에 참가할 수 없어.
나: 감독님, 그런 법이 어디 있어요? 저는 저 언니들보다 훨씬 더 잘할 수 있어요. 4.(无对应词汇) 4. 일정하게 하는 행동이나 습관. 一贯的行为或习惯。 - 나는 그가 식당에서 돈을 내는 법을 본 적이 없다.
- 아버지는 아무리 화가 나도 큰소리를 내는 법이 없었다.
- 그는 삼십 년 동안 회사에 다니면서 지각을 하는 법이 없었다.
- 승규는 비가 오나 눈이 오나 하루라도 책을 읽지 않고 지나가는 법이 없었다.
- 가: 걔는 어쩜 그렇게 미운 말만 골라서 하니?
나: 네가 참아. 나도 걔가 예쁘게 말을 하는 법을 못 봤어. 5.(无对应词汇) 5. 앞말의 내용이 당연함을 나타내는 말. 表示理所当然。 -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법이다.
- 오르막길 있으면 내리막길도 있는 법이다.
- 세월이 흐르면 사람은 늙는 법인데 그는 십 년 전이나 지금이나 똑같다.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하는 법인데 그런 소리를 듣고 참고 있는 그가 신기했다.
- 가: 내일 여행 너무 설렌다.
나: 기대가 크면 실망도 큰 법이라고 나중에 실망 안 하려면 아예 기대도 하지 마. 6.(无对应词汇) 6. 앞말의 동작이나 상태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음을 나타내는 말. 表示有可能出现前面的动作或状态。 - 지수의 말을 들어 보니 승규가 나에게 화를 낼 법도 했다.
- 바닥에 넘어진 아이는 울 법도 한데 아무렇지도 않게 다시 일어섰다.
- 계획대로만 된다면 사업은 성공할 법도 했지만 그렇게 되지 않았다.
- 가: 지구가 곧 멸망할 거라는데?
나: 너는 좀 말이 될 법이나 한 소리를 해라. - 全部参考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방법’ 또는 ‘규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后缀。指“方法”或“规则”。 - 가공법
- 가정법
- 가족법
- 감상법
- 건축법
- 경어법
- 계산법
- 관계법
- 관습법
- 교수법
- 교육법
- 국내법
- 국제법
- 국회법
- 귀납법
- 금지법
- 기본법
- 노동법
- 농사법
- 높임법
- 단축법
- 도치법
- 맞춤법
- 명상법
- 발효법
- 변증법
- 불문법
- 사동법
- 사용법
- 상속법
- 성문법
- 소송법
- 손질법
- 수사법
- 십진법
- 양분법
- 연역법
- 영문법
- 예방법
- 요리법
- 원근법
- 위생법
- 육아법
- 이분법
- 이진법
- 자연법
- 정공법
- 정서법
- 제조법
- 조리법
- 지혈법
- 직설법
- 철자법
- 축지법
- 치료법
- 특례법
- 특별법
- 표기법
- 표현법
- 현행법
- 호흡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