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水盆 주로 세수할 때 물을 담아 쓰는 둥글고 넓적한 그릇. 主要用于装水洗脸,圆而宽的器皿。 - 대야를 사용하다.
- 대야에 넣다.
- 대야에 담다.
- 대야에 뜨다.
- 대야에 붓다.
- 민준이는 시골 할머니 댁에 가면 세면대가 없어 대야에 물을 담아 세수를 한다.
- 유민이는 아기를 씻기기 위해 따뜻한 물을 담은 대야와 수건을 들고 방에 들어왔다.
- 가: 다리가 불편해서 세수는 어떻게 하니?
나: 가족들이 대야에 물을 받아다 줘요. - 全部参考
- 형용사나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다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이다.
1.(无对应词汇) 1. 앞에 오는 말이 뒤에 오는 말의 조건임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前面内容为后面内容的条件。 - 네가 바쁘대야 내가 가서 돕지. 말을 안 하면 바쁜지 내가 어떻게 알겠어?
- 날씨가 좋대야 소풍이라도 가지. 비가 계속 와서 나가기 어려워.
- 책이 재미있대야 잘 팔리지. 표지만 예뻐서야 얼마 못 가지.
- 가: 네가 안 아프대야 엄마가 마음을 놓지.
나: 엄마 전 잘 지내고 있으니까 걱정하지 마세요. 2.(无对应词汇) 2. 어떤 상황을 가정했을 때 그것이 별로 심각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님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假设的某种状况并不严重或困难。 - 일이 많대야 얼마나 많겠어요?
- 그곳이 춥대야 남극만큼 춥겠어요?
- 그 나이에는 피곤하대야 한두 시간 쉬고 나면 금방 좋아져요.
- 가: 지수가 국이 짜대요.
나: 국이 짜대야 얼마나 짜겠어요? 물을 조금 넣어 끓이면 간이 맞을 거예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