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派,派系,一方,一边 여러 무리로 나누었을 때 그 하나하나의 쪽. 指在分成多个群时的每一个群。 - 이쪽 편.
- 내 편.
- 약자의 편.
- 편이 갈리다.
- 편을 가르다.
- 아이들은 편을 갈라서 고무줄놀이를 하고 있었다.
- 스위스는 냉전 당시 어느 편에도 속하지 않은 중립국이었다.
- 가: 운동회 결과는 어떻게 됐어?
나: 우리 편이 이겼어. 编 어떤 사람이나 단체가 책을 만들었음을 나타내는 말. 表示某人或某个团体汇编成书。 - 교육부 편.
- 기획부 편.
- 김철수 편.
- 연구부 편.
- 한국 대학교 출판부 편.
- 이 수업은 우리 학교 출판부 편의 책을 교재로 쓴다.
- 이 책은 홍보부 편으로 여러 홍보 기획안을 묶은 것이다.
- 가: 이 책 어디서 편찬한 거야?
나: 책 안쪽에 교육부 편이라고 적혀 있잖아. - 发音
- [편듣기]
- 词类
- 「의존 명사」 不完全名词
1.边 1. 무엇이 나아가거나 향하는 방향. 进行或朝向的方向。 - 가리키는 편.
- 물건이 있는 편.
- 바람 부는 편.
- 사람이 있는 편.
- 소리 나는 편.
- 물건이 쌓여 있는 편으로 가니 내가 찾는 물건이 있었다.
- 시끄러운 소리가 나는 편을 돌아보니 아이들이 장난을 치고 있었다.
- 가: 이 근처에 병원이 있나요?
나: 큰 나무가 있는 편으로 쭉 걸어가세요. 2.方 2. 서로 다른 입장 중 하나를 가리키는 말. 相互不同立场中的一边。 - 강한 편.
- 반대되는 편.
- 약한 편.
- 이긴 편.
- 진 편.
- 우리는 내기 당구를 하면서 지는 편이 비용을 대기로 했다.
- 어제 경기에서는 이긴 편도 진 편도 모두 훌륭한 경기력을 보여 주었다.
- 가: 너는 왜 늘 지는 편을 응원해?
나: 몰라. 왠지 약한 편을 응원하게 되네. 3.算是 3. 대체로 어떤 부류에 속함을 나타내는 말. 大概属于某一类。 - 괜찮은 편이다.
- 맛있는 편이다.
- 비싼 편이다.
- 예쁜 편이다.
- 잘하는 편이다.
- 승규는 운동은 못해도 공부는 잘하는 편이다.
- 지수는 그 정도면 키가 큰 편이다.
- 가: 이 식당 어때?
나: 음식은 맛있는데 가격이 좀 비싼 편이야. - 发音
- [편듣기]
- 词类
- 「의존 명사」 不完全名词
顺便 사람이 오고 가거나 물건을 부치는 데 이용하는 기회나 수단. 利用派人或送物的机会或手段。 - 비행기 편.
- 아들 편.
- 열차 편.
- 가는 편.
- 오는 편.
- 나는 며느리에게 주기 위해 아들 편에 반찬을 보냈다.
- 나는 비행기 표를 구하지 못해 고속 열차 편으로 고향에 내려갔다.
- 가: 고객님, 편지를 일반 우편으로 보내 드릴까요?
나: 아니요. 일일 특급 등기 편으로 보내 주세요. - 发音
- [편듣기]
- 词类
- 「의존 명사」 不完全名词
1.篇 1. 형식이나 내용, 성질 등이 다른 글을 구별하여 나타내는 말. 以不同的形式、内容、性质等来划分的文章版块。 - 기본 편.
- 기초 편.
- 문학 편.
- 소설 편.
- 수필 편.
- 종합 편.
- 나는 오늘 언어 영역 참고서 중 문학 편을 다 보았다.
- 선생님은 나에게 일본어 교재 중 기초 편을 먼저 공부하라고 말씀하셨다.
- 가: 이 문제집 너무 어려워.
나: 이거 심화 편이잖아. 그러니까 어렵지. 2.篇,部,首 2. 책이나 문학 작품, 또는 영화나 연극 등을 세는 단위. 计算书、文学作品、电影或话剧等的数量单位。 - 소설 두 편.
- 수필 열 편.
- 시 서너 편.
- 연극 한 편.
- 한 편의 논설.
- 이 책에는 단편 소설 다섯 편이 엮여 있다.
- 나는 연휴 동안 영화만 세 편을 보았다.
- 김 작가는 스무 살에 낸 수필 한 편으로 유명 작가 대열에 합류했다.
- 가: 지수야, 너 뮤지컬 좋아해?
나: 아니. 뮤지컬은 한 편도 안 봤어. 3.篇,章 3. 책의 내용을 일정한 단위로 크게 나눈 한 부분을 나타내는 말. 将一本书的内容按一定标准大致划分后的每部分。 - 제5편.
- 제1편.
- 문화에 대한 설명은 이 책의 제3편 제1장에 나와 있다.
- 이 책의 제1편은 형태론이고, 제2편은 통사론이다.
- 가: 제2편은 누가 발제를 맡을래?
나: 제가 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