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하다듣기]
- 活用
- 하여(해[해ː듣기]), 하니
- 词类
- 「동사」 动词
1.做,干 1. 어떤 행동이나 동작, 활동 등을 행하다. 进行某种行动、动作或活动。 - 공부를 하다.
- 말을 하다.
- 생각을 하다.
- 숙제를 하다.
- 운동을 하다.
- 일을 하다.
- 학생은 선생님의 질문에 대답을 했다.
- 너무 긴장한 나머지 나는 제대로 말을 할 수가 없었다.
- 노인은 헛기침을 한 번 하더니 다시 이야기를 시작했다.
- 가: 지금까지 뭐 하고 있었어?
나: 학교에서 공부하고 있었어. 2.做,作,置办 2. 무엇을 만들거나 장만하다. 制作或准备什么东西。 - 나무를 하다.
- 물건을 하다.
- 밥을 하다.
- 옷을 한 벌 하다.
- 음식을 하다.
- 나는 손님에게 대접할 음식을 했다.
- 아버지는 겨울에 땔감으로 쓸 나무를 하러 산에 가셨다.
- 가: 결혼식 때 쓸 반지는 골랐어?
나: 응, 그냥 금반지로 하나 했어. 3.做出,作出 3. 어떤 표정을 짓거나 태도 등을 나타내다. 露出某种表情或表现出某种态度等。 - 반색을 하다.
- 어두운 얼굴을 하다.
- 우는 얼굴을 하다.
- 웃는 얼굴을 하다.
- 정색을 하다.
- 그는 곤란한 표정을 하며 내 부탁을 거절했다.
- 우리가 그를 범인으로 의심하자 그는 정색을 했다.
- 가: 승규가 기분이 좋은가 보다.
나: 그러게. 웃는 표정을 하고 있네. 4.吃,喝 4. 음식물 등을 먹거나 마시거나 담배 등을 피우다. 进食或抽烟等。 - 담배를 하다.
- 마약을 하다.
- 술을 하다.
- 음주를 하다.
- 식사를 하다.
- 흡연을 하다.
- 그녀의 얼굴이 빨간 것을 보니 술이라도 한 잔 한 모양이다.
- 그는 청소년들이 술, 담배를 해서는 안 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 가: 기차가 출발할 때까지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네.
나: 그럼 차 한 잔 하면서 기다리자. 5.佩戴,穿衣打扮,置办,置备 5. 장신구 등을 몸에 걸치거나 옷 등을 차려입다. 把首饰等戴在身上或穿衣服等。 - 가면을 하다.
- 귀고리를 하다.
- 넥타이를 하다.
- 목걸이를 하다.
- 목도리를 하다.
- 상복을 하다.
- 정장을 한 사람들이 식장 안으로 들어왔다.
- 중요한 모임이 있을 때마다 나는 진주 목걸이를 했다.
- 후덥지근한 날씨 때문에 넥타이를 하지 않고 출근하는 직장인들도 눈에 띄었다.
- 가: 밖에 너무 추워요.
나: 그러게 목도리라도 하고 나가지 그랬어. 6.从事,经营 6. 어떤 직업이나 일을 가지거나 사업체 등을 경영하다. 拥有某种职业或运营某种事业。 - 가게를 하다.
- 강사를 하다.
- 장사를 하다.
- 피아노를하다.
- 회사를 하다.
- 문학을 하다.
- 그는 백화점에서 신발을 판매하는 일을 한다.
- 한 대학에서 교수를 하고 있는 김 모 씨가 대학들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 가: 요즘 어떻게 지내?
나: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미술 학원을 하면서 지내. 7.作为,当作 7. 어떤 지위나 역할을 맡다. 担任某种职位或起到某种作用。 - 반장을 하다.
- 조연을 하다.
- 주인공을 하다.
- 학생 회장을 하다.
- 한자리를 하다.
- 잘생긴 외모와 훌륭한 연기 덕분에 그는 영화의 주인공을 많이 했다.
- 나는 중학교 시절 내내 반장을 할 정도로 친구들로부터 인기가 많았다.
- 가: 우리 모임에서 누가 총무를 할래?
나: 내가 할게! 8.获得,取得 8. 어떠한 결과를 이루어 내다. 实现某种结果。 - 꼴찌를 하다.
- 성공을 하다.
- 수석을 하다.
- 일 등을 하다.
- 차석을 하다.
- 합격을 하다.
- 그는 늘 열심히 공부한 덕분에 시험을 보면 항상 전교 일 등을 했다.
- 그토록 원하던 대학에 합격을 한 후 나는 너무 기쁜 나머지 눈물을 흘렸다.
9.想要,想买 9. 무엇을 사거나 얻거나 해서 가지다. 购买或得到某种东西。 - 나는 식사로 무엇을 할까 고민하다 식당에서 사 먹기로 했다.
- 우리는 두 가방 중 어떤 가방을 할지 고민하다가 결국 내가 빨간 가방을 갖기로 했다.
- 가: 마음에 드는 옷은 골랐어?
나: 응, 이 옷으로 하기로 했어. 10.价钱 10. 값이 어느 정도에 이르다. 价格达到某种程度。 - 만 원 하다.
- 천 원 하다.
- 만 원 가까이 하다.
- 당시에는 사과 한 상자가 십만 원 정도 했다.
- 나는 만 원 하는 목도리를 하나 사서 목에 둘렀다.
- 어머니는 무슨 옷이 한 벌에 백만 원이나 하냐며 손사래를 치셨다.
- 가: 이 자동차는 얼마나 합니까?
나: 그 차는 이번에 새로 나온 차라 꽤 비싸요. 오천만 원입니다. 11.对得起,值,值当 11. 기대에 걸맞은 일을 행동으로 나타내다. 用行动做出符合期望的事情。 - 밥값을 하다.
- 얼굴값을 하다.
- 이름값을 하다.
- 나는 빈둥빈둥 놀지 말고 밥값이라도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 그는 최고의 홈런 타자답게 벌써부터 많은 홈런을 치며 톡톡히 이름값을 하고 있다.
- 가: 너 회사에 들어가서 밥값은 하니?
나: 그럼! 내가 얼마나 열심히 일한다고. 12.分别,区别 12. 분별해서 말하다. 分开来说。 - 행사장에는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많은 사람들이 찾아왔다.
- 밤이고 낮이고 할 것 없이 옆집에서 시끄럽게 구는 바람에 잠을 제대로 잘 수가 없었다.
- 가: 갈수록 빈부격차가 커져서 걱정이야.
나: 그러게. 잘 사는 사람, 못 사는 사람 할 것 없이 모두가 잘 살면 얼마나 좋아. 13.办理,处置,分配 13. 사건이나 문제 등을 처리하다. 处理事情或问题。 - 나는 그 문제를 어떻게 하면 좋을지 쉽게 생각이 나지 않았다.
- 김 사장은 모든 일은 자기 마음대로 해 직원들의 불만이 많았다.
- 선생님들은 문제를 일으킨 학생을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의논했다.
- 가: 이 일을 어떻게 처리할까요?
나: 하던 대로 하면 돼. 14.作为,当作 14. 특정한 대상을 무엇으로 삼거나 정하다. 把特定的对象当成或定成什么。 - 반찬으로 하다.
- 비밀로 하다.
- 소재로 하다.
- 김치를 안주로 하다.
- 아이를 양자로 하다.
- 이 소설은 작가가 겪었던 일을 소재로 했다.
- 우리는 그 호텔을 숙소로 하고 그 곳에서 며칠 묵기로 했다.
- 가난했던 그 시절, 반찬을 살 돈이 없었던 나는 간장을 반찬으로 해 밥을 먹었다.
- 가: 너 이 말은 어디에 가서 절대로 하면 안 돼!
나: 알겠어. 너와 나 사이의 비밀로 하자고. 15.(无对应词汇) 15. 어떠한 방향으로 두다. 朝某一方向。 - 남쪽으로 하다.
- 뒤로 하다.
- 벽 쪽으로 하다.
- 아래로 하다.
- 위로 하다.
- 우리는 육지를 뒤로 하고 항해를 떠났다.
- 나는 양발을 앞쪽으로 하고 무릎을 살짝 구부린 후 힘차게 뛰었다.
- 가: 칼을 줄 땐 칼끝을 아래쪽으로 해야지. 내 쪽으로 하면 위험하잖아.
나: 미안, 다음부턴 주의할게. 16.决定 16. 어떤 일을 그렇게 정하다. 把某事定下来。 - 우리는 한 학기 동안 같이 수업을 듣기로 했다.
- 그가 사장을 맡기로 했지만 사실 그는 회사의 경영에 대해서 아는 게 전혀 없었다.
- 가: 우리 내일 몇 시에 만날까?
나: 음, 점심을 먹고 두 시 쯤에 만나기로 하자. 17.称作,叫 17. 이름을 지어서 부르다. 称呼名字。 - 그들은 딸의 이름을 ‘지수’라고 했다.
- 그곳에는 '돌사막'이라고 하는 전혀 풀이 나지 않는 사막도 있다고 했다.
- 가: 성함이 어떻게 되세요?
나: 김승규라고 합니다. 18.因为,由于 18. 어떠한 일의 원인이 되다. 表示原因。 - 언니의 결혼으로 하여서 온 집안이 축제 분위기였다.
- 그는 무리하게 일을 하다가 과로로 하여서 결국 쓰러지고 말았다.
- 가: 실직 후에 형은 어떻게 되었어?
나: 실직으로 하여 빈털털이가 되었지. 19.经由 19. 어디를 거쳐 지나다. 经过某地。 - 우리는 상점가로 해서 학교까지 걸어갔다.
- 우리는 일본으로 해서 미국에 가기로 했다.
- 그 기차는 러시아로 하여 중국까지 가는 기차였다.
- 가: 프랑스로 바로 가는 비행기는 없나?
나: 바로 가면 비싸니까 홍콩으로 해서 가자. 20.(无对应词汇) 20. 일정한 시각이나 시기에 이르다. 到了一定的时间或时机。 - 저녁 여섯 시쯤 해서 저녁식사가 제공되었다.
- 그녀가 결혼한 지 일 년쯤 해서 임신 소식이 들려왔다.
- 가: 서울역에는 언제 도착해?
나: 이따 세 시쯤. 도착할 때 쯤 해서 전화할게. 参考 주로 '~쯤 하여(서)', '~경 하여(서)'로 쓴다. 21.(无对应词汇) 21. 이야기의 화제로 삼다. 当作话题。 - 봄의 대표적인 꽃 하면 장미가 떠오른다.
- 자동차 하면 독일일 정도로 독일에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자동차 회사들이 많다.
- 가: 너 춤은 잘 춰?
나: 그럼. 춤 하면 또 나를 빼놓을 수 없지. 22.(无对应词汇) 22. 무엇에 대해 말하다. 表示引用。 - 오늘 아침 신문에서 미국과 한국이 무역 협정을 체결한다고 했다.
- 그는 가족들에게 “잘 다녀오겠습니다.”라고 한 뒤 여행을 떠났다.
- 가: 지수한테 전화는 해 봤어?
나: 응, 지수 어머니가 전화를 받으시더니 지수 없다고 하셨어. 23.(无对应词汇) 23. 다른 사람의 말이나 생각 등을 나타내는 문장을 받아 뒤에 오는 단어를 꾸미는 말. 承接他人的话或想法等的句子,并修饰后面的单词。 - 다음에는 대전에서 모임을 갖자고 하는 의견이 있었다.
- 아버지가 위독하다고 하는 내용의 편지를 받고 그녀는 병원으로 달려갔다.
- 그는 상사로부터 승진할 가능성이 높다고 하는 이야기를 듣고 기분이 좋아졌다.
参考 주로 '하는'으로 쓰는데 '-고 하는'은 '-는'으로 줄기도 한다. - 句型
- 1이 2-고 하다
24.(无对应词汇) 24. 다른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주거나 대하다. 给别人产生某种影响或怎样对待别人。 - 동네 사람들이 그녀에게 쌀쌀맞게 해도 그녀는 항상 웃음을 잃지 않았다.
- 나는 그에게 친절하게 한다고 했는데 그는 그런 나에게 오히려 못되게 굴었다.
- 가: 아들이 사춘기라 그런지 자꾸 말을 안 듣고 엇나가는 것 같아.
나: 그럴 때 일수록 네가 아들에게 따뜻하게 잘 하는 게 좋아. 25.(无对应词汇) 25. 어떤 방식으로 행위를 이루다. 以某种方式构成行为。 - 나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대로 할 생각이다.
- 그는 앞으로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지 고민이 된다고 했다.
- 몇몇 사람들은 그가 한 것처럼 하면 모두 성공할 것이라고 믿었다.
26.(无对应词汇) 26. 둘 이상의 일이 나열되거나 되풀이되는 것을 나타내는 말. 表示两个以上的并列或反复。 - 식욕이 없던 그녀는 밥을 먹는 둥 마는 둥 했다.
- 그가 죽든지 살든지 하는 것은 내가 알 바가 아니었다.
- 어머니는 나에게 계속 콧물이 나거나 기침이 나거나 하면 병원에 가 보라고 했다.
- 가: 지수랑 여행은 잘 했어?
나: 아니, 여기 갈까 저기 갈까만 하다가 제대로 돌아다니지도 못하고 고생만 했어. 参考 '-거나 -거나 하다', '-든지 -든지 하다', '-고 -고 하다', '-다가 -다가 하다', '-거니 -거니 하다', '-둥 -둥 하다, '-까 -까 하다' 등으로 쓴다. 27.(无对应词汇) 27. 생각하거나 추측하다. 表示想法或推测。 - 나는 그가 곧 돌아오겠거니 하고 먼저 잠자리에 들었다.
- 구름이 잔뜩 껴서 비가 오려나 했지만 다행히 비는 오지 않았다.
- 가: 걔 얼굴 표정이 안 좋던데 무슨 일 있대?
나: 나도 무슨 일이 있는 건 아닐까 했는데 너도 그렇게 생각했구나. 参考 '-ㄴ가/-ㄹ까/-나 하다', '-려니 하다', '-려나 하다', '-거니 하다' 등으로 쓴다. - 句型
- 1이 하다
28.(无对应词汇) 28. 이러저러하게 말하다. 表示说这样那样的话。 - 그녀는 이러니저러니 하며 내가 하는 일에 계속 참견을 했다.
- 가: 너는 지수의 어디가 그렇게 좋아?
나: 다 좋지만 뭐니 뭐니 해도 예쁜 마음씨가 제일 좋지. 29.(无对应词汇) 29. 어떤 상황이 일어나면 그 뒤에 반드시 어떤 상황이 뒤따라옴을 나타내는 말. 表示确切的事实。 - 그는 한번 술을 마셨다 하면 소주 두세 병은 기본이었다.
- 당시에 로마는 전쟁했다 하면 무조건 승리를 할 정도로 군사력이 막강했다.
- 가: 네가 여학생들한테 인기가 많다고? 그걸 어떻게 믿어?
나: 참나, 내가 여학교 앞에 나타났다 하면 여학생들이 우르르 몰려온다고. 30.(无对应词汇) 30. 그런 소리가 나다. 또는 그런 소리를 내다. 响起那样的声音;或发出那样的声音。 - 어디선가 ‘쾅’ 하는 폭발음이 났다.
- 갑자기 ‘우당탕’ 하는 소리가 들리더니 책꽂이에 있던 책들이 바닥에 떨어졌다.
- 가: 어제 나는 천둥소리를 못 들었는걸.
나: 어떻게 그 큰 소리를 못 들을 수가 있어? 나는 ‘우르릉 쾅’ 하는 소리 때문에 한숨도 못 잤는데. 31.(无对应词汇) 31. 어떤 말을 인용하는 기능을 나타내는 말. 表示引用。 - 한 여자가 “도와주세요!” 하며 나에게 달려왔다.
- 운동장에 모인 학생들은 “차렷” 하고 구호를 외쳤다.
- 버스가 정류장에 멈추자 한 사내가 “좀 내릴게요.” 하면서 사람들을 제치고 나왔다.
参考 어떤 말을 직접 인용하는 문장 뒤에 쓴다. 32.(无对应词汇) 32. ‘그러나’, ‘그러니’, ‘그러면’, ‘그리하여’, ‘그래서’의 뜻을 나타내는 말. 表示“但是”、“因为那样”、“那么”、“因此”、“所以”的意思。 - 이 일은 내가 할게. 하니 나머지 일은 네가 해.
- 제가 요즘에 여유가 많이 생겼습니다. 해서 취미를 하나 가질까 하는데요.
- 이번만 자네 잘못을 용서해 주겠네. 하나 내가 자네를 완전히 용서한 건 아냐.
参考 문장 앞에서 '하나', '하니', '하면', '하여', '해서' 등으로 쓴다. 惯用语·谚语3 - 惯用语
- 하는 수 없이
无可奈何;迫不得已;只好 어쩔 방법이나 도리가 없이. 毫无办法,不得不。 - 그 호텔에는 빈 방이 없어 나는 하는 수 없이 다른 호텔을 알아봤다.
- 두 사람은 서로 무척이나 사랑했지만 부모님들의 반대로 하는 수 없이 헤어졌다.
- 惯用语
- 하면 하고 말면 마는 식
满不在乎;随心所欲 간절한 마음이 없이 하고 싶으면 하고 하기 싫으면 하지 않는 안일한 태도. 一种没有迫切感,乐意就做、不乐意做就不做的无所谓的态度。 - 가: 걔 취직은 했대?
나: 아니. 늘 하면 하고 말면 마는 식인 아이가 어떻게 취직하겠어. - 惯用语
- 할 말을 잊다
无言以对 놀라거나 어이가 없어서, 또는 감동해서 제대로 말이 나오지 않다. 因受到惊吓、感到无语或深受感动而一时说不出话来。 - 나는 당혹감에 잠시 할 말을 잊었다.
- 눈앞에 아름다운 야경이 펼쳐지자 우리는 모두 할 말을 잊고 야경을 감상했다.
- 发音
- [하다듣기]
- 活用
- 하는[하는], 하여[하여듣기](해[해ː듣기]), 하니[하니듣기], 합니다[함니다]
- 词类
- 「보조 동사」 补助动词
1.(无对应词汇) 1. 앞말의 행동을 시키거나 앞말이 뜻하는 상태가 되도록 함을 나타내는 말. 表示使做前面的行动或使成为前面所指的状态。 - 나는 동생에게 공부를 하게 했다.
- 이 약은 아픈 머리를 낫게 합니다.
- 슬픈 노래가 나의 마음을 아프게 한다.
- 여자 친구를 기쁘게 하려면 어떻게 할까?
- 가: 지수는 약속 장소가 바뀐 걸 모를 텐데.
나: 지금 전화해서 여기로 오게 할게요. 参考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게 하다'로 쓴다. 2.(无对应词汇) 2. 앞말의 행동을 하거나 앞말의 상태가 되기를 바란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表示做前面的动作或希望成为该状态。 - 나는 내가 좀 더 멋졌으면 한다.
- 네가 꼭 시험에 합격했으면 해.
- 결혼식에 사람이 많이 왔으면 해요.
- 가: 미안해. 이제 좀 나를 용서해 줬으면 해.
나: 그래, 알았어. 参考 동사나 형용사, '이다' 뒤에서 주로 '-었으면 하다'로 쓴다. 3.(无对应词汇) 3. 어떤 행동이 필요하거나 그렇게 되기를 바란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 表示前面动作非常有必要或希望成为该状态。 - 방은 항상 깨끗해야 한다.
- 먹고 살려면 일을 해야 한단다.
- 꼭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야 한다.
- 지각하지 않지 않으려면 일찍 일어나야 할 것이다.
- 가: 너, 또 숙제 밀렸다며?
나: 응 빨리 해야 하는데 잘 안되네. 参考 동사나 형용사 뒤에서 '-어야 하다'로 쓴다. 4.(无对应词汇) 4. 앞말의 행동을 시도하거나 의도함을 나타내는 말. 表示实现前面动作的想法。 - 우리 가족은 주말에 소풍을 가려고 한다.
- 여름에는 바다에 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다.
- 나는 지각하지 않으려 했지만 버스를 놓쳤다.
- 가: 너 오늘도 늦게 일어났지?
나: 죄송합니다. 오늘은 정말 일찍 일어나려고 했어요. 参考 동사 뒤에서 '-려(고) 하다', '-고자 하다'로 쓴다. 5.(无对应词汇) 5. 앞말의 행동을 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 表示应当。 - 학교를 가려면 한 시간을 걸어야 했다.
- 몸이 아파서 나는 집에서 쉬어야 했지.
- 가: 너 치사하게 먼저 집에 갔지?
나: 미안해, 그때는 부모님이 빨리 오라고 해서 집에 가야 했어. 6.(无对应词汇) 6. 앞말의 행동을 하는 일도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 表示可能。 - 주말이면 우리는 산책을 가기도 해.
- 힘든 일이 있으면 울기도 할 수 있는 거야.
- 나는 가끔 친구에게 편지를 쓰기도 합니다.
- 가: 넌 맨날 놀기만 하니?
나: 아냐. 공부도 하기도 해. 7.(无对应词汇) 7. 앞말의 사실이 뒷말의 이유나 근거가 됨을 나타내는 말. 表示理由或依据。 - 비도 오고 해서 집에 일찍 들어왔다.
- 이제 에어컨도 틀었고 하니 금방 시원해질 거야.
- 비록 전공은 아니지만 관련 서적도 많이 읽고 하여 어느 정도 지식은 가지고 있다.
- 가: 어젯밤에 늦게 잤어?
나: 잠도 안 오고 해서 책을 읽었어. 参考 동사나 '이다' 뒤에서 '-고 하다'로 쓴다. 8.(无对应词汇) 8. 어떤 동작이 반복되거나 자주 나타남을 나타내는 말. 表示反复。 - 이 지역은 자주 홍수가 나고는 한다.
- 나는 밀린 일이 있으면 밤을 새곤 해.
- 동생은 즐거운 일이 있을 때면 노래를 부르고는 했었다.
- 가: 넌 심심할 때 뭐 하니?
나: 응, 극장에 가곤 해. 参考 동사 뒤에서 '-고는 하다', '-곤 하다'로 쓴다. 9.(无对应词汇) 9. 앞말이 뜻하는 대상에 어떤 느낌을 가진다는 것을 나타내는 말. 表示某种情感。 - 할아버지는 손주를 예뻐한다.
- 여자 친구와 헤어진 후로 형은 너무나 외로워했다.
- 선생님은 학생들이 너무 지겨워해서 수업 방식을 바꿔 보기로 하였다.
- 가: 그 선물을 주니 어땠어?
나: 아내가 아주 좋아했어. - 发音
- [하다듣기]
- 活用
- 한[한듣기], 하여[하여듣기](해[해ː듣기]), 하니[하니듣기], 합니다[함니다]
- 词类
- 「보조 형용사」 补助形容词
1.(无对应词汇) 1. 앞의 말이 뜻하는 상태를 일단 긍정하거나 강조함을 나타내는 말. 表示首先肯定或强调前句所指的状态。 - 그거 참 딱하기도 한데 도와줄 방법이 없네.
- 혼자 사는 게 외롭기야 하지만 편하기도 하다.
- 내가 키가 크기만 하면 농구 선수가 될 수 있었을 텐데.
- 가을 바람이 시원하기는 하지만 오래 있으면 감기에 걸리겠다.
- 가: 이 옷은 어떠세요?
나: 좋기는 한데 가격이 좀 비싸네요. - 가: 지수는 참 예쁘기도 하지.
나: 얼굴도 예쁘지만 마음씨도 참 고와. 参考 형용사, '이다' 뒤에서 '-기는 하다', '-기도 하다', '-기나 하다', '-기야 하다', '-기만 하다'로 쓴다. 2.(无对应词汇) 2. 앞의 말이 뜻하는 사실이 뒤의 말의 이유나 근거가 됨을 나타내는 말. 表示前句所指的事实为后句的理由或根据。 - 길도 멀고 하니 일찍 가도록 하여라.
- 날씨도 춥고 하니 외출은 하지 맙시다.
- 경치도 좋고 하여 우리는 잠시 쉬었다 가기로 했다.
- 마침 배도 고프고 해서 간식을 사러 나가려던 참이었다.
- 가: 어떻게 할까요? 이제 그만 헤어질까요?
나: 기분도 좋고 하니 술이나 한잔 더 합시다. 参考 형용사, '이다' 뒤에서 '-고 하다' 로 쓴다. 1.(无对应词汇) 1. '그것을 행동함', '그것과 관련된 행동을 함'의 뜻을 더하고 동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进行某种活动”,“做与此有关的活动”,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动词。 - 공부하다
- 밥하다
- 빨래하다
- 사랑하다
- 생각하다
- 절하다
2.(无对应词汇) 2. '그러한 상태임'의 뜻을 더하고 형용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那个状态”,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形容词。 3.(无对应词汇) 3. '그러한 소리를 냄' 또는 '그러한 모양임'의 뜻을 더하고 동사나 형용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发出那样的声音”或“那个样子”,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形容词。 4.(无对应词汇) 4. '그러한 모양임', '그러한 상태임' 또는 '그러한 성질을 지님'의 뜻을 더하고 동사나 형용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那个样子”,“那个状态”或“具有那个性质”,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动词或形容词。 参考 의성어, 의태어 이외에 일부 부사 뒤에 붙는다. 5.(无对应词汇) 5. '그러하게 됨', '그러한 상태임' 또는 '그러한 성질임'의 뜻을 더하고 동사나 형용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变得那样”,“那个状态”或“那个性质”,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动词或形容词。 6.(无对应词汇) 6. '그러함'의 뜻을 더하고 동사나 형용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那样”,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动词或形容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