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1.馅 1. 송편이나 만두 등을 만들 때,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재료. 做松片或饺子时包在里面的各种材料。 - 돼지고기 소.
- 만두 소.
- 송편 소.
- 소를 넣다.
- 소를 채우다.
- 만두에 소를 너무 많이 넣었더니 옆이 터져 버렸다.
- 우리 가족은 추석 때 둘러앉아 팥이나 콩, 밤 등을 소로 넣어 송편을 빚었다.
- 어머니는 돼지고기, 야채, 당면을 뒤섞은 소를 듬뿍 넣고 왕만두를 해 주셨다.
- 가: 난 고기 안 먹는데.
나: 만두에 고기를 빼고 소를 넣어야겠네. 2.作料 2. 배추김치나 오이소박이김치 등의 속에 넣는 여러 가지 채소와 양념. 白菜辛奇或黄瓜辛奇等里面放的各种蔬菜和调味料。 - 배추김치 소.
- 오이소박이 소.
- 소를 넣다.
- 소를 채우다.
- 나는 소가 꽉 찬 오이소박이를 아삭 소리를 내며 먹었다.
- 아내는 배추김치 소를 만드느라 양손이 양념투성이였다.
- 가: 와! 김치 정말 맛있다. 어쩜 이렇게 양념이 잘 뱄어?
나: 우리 어머니께서 배추 잎마다 속속들이 소를 채우신 거야. 牛 몸집이 크고 갈색이나 흰색과 검은색의 털이 있으며, 젖을 짜 먹거나 고기를 먹기 위해 기르는 짐승. 为了挤奶或食用而饲养的牲畜,体型大,毛色为褐色或黑白相间。 - 소 다섯 마리.
- 소의 가죽.
- 소의 뼈.
- 소의 꼬리.
- 소를 기르다.
- 소를 잡다.
- 소가 수레를 끌다.
- 소가 풀을 뜯다.
- 시골 큰아버지께서는 벼농사를 그만두시고 소를 기르기로 하셨다.
- 마을에 전염병이 돌면서 소나 돼지를 키우는 농가의 피해가 늘고 있다.
- 가: 소가 자꾸 울어요.
나: 여물을 달라나 보구나. 소에게 꼴을 먹이도록 하자. 惯用语·谚语4 - 谚语
- 소 닭 보듯
如牛看鸡一般;视而不见 어떤 것을 무심하게 대하는 모양. 对某物漠不关心的样子。 - 민준이는 예쁜 여자를 앞에 두고도 소 닭 보듯 한다.
- 谚语
- 소 뒷걸음질 치다 쥐 잡다
瞎猫碰死耗子 소가 뒷걸음질 치다가 우연히 쥐를 잡게 되었다는 뜻으로, 우연히 공을 세우다. 牛倒退时误打误撞踩到老鼠,比喻偶然立功。 - 가: 산에서 길을 잃고 헤매다가 돈을 주웠어!
나: 소 뒷걸음질 치다 쥐 잡은 격이구나. - 谚语
-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
亡羊补牢;于事无补 일이 이미 잘못된 뒤에는 바로잡으려고 애써도 소용이 없다. 等出了问题后再想办法补救是没有用的。 - 가: 저 집 도둑맞았다더니 이제 열쇠 바꾸나 보네.
나: 진작에 허술한 자물쇠를 바꿨어야지,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는 말이 딱 맞네. - 谚语
-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빈다
牛没有坎难蹭痒;巧妇难为无米之炊 언덕이 있어야 소도 가려운 곳을 비비거나 언덕을 디뎌 볼 수 있다는 뜻으로, 누구나 의지할 곳이 있어야 무슨 일이든 시작하거나 이룰 수가 있다. 要有山坡牛才能蹭痒或登山坡,比喻任何人都要有依靠才能开始或做成什么事。 - 가: 이렇게 인맥이 없어서야 어디 사업을 시작이나 할 수 있겠어?
나: 그러게, 소도 언덕이 있어야 비빈다는데 말이야. 小 크기에 따라 큰 것, 중간 것, 작은 것으로 구분하였을 때, 가장 작은 것. 按大小分成大、中、小时其中最小的。 - 사이즈 소.
- 소가 맞다.
- 소를 선택하다.
- 소를 입다.
- 소로 정하다.
- 보통 식당에서 소 요리는 이 인분 기준이다.
- 지수는 너무 말라서 옷을 살 때 소를 사는데도 좀 크다.
- 가: 갈비찜 사이즈는 어떻게 하시겠어요?
나: 둘이 먹을 거니까 소로 할게요. 诉讼 법률에 따라 주장의 정당성을 심판하여 권리나 의무 등을 확정해 달라고 법원에 신청하는 일. 依法向法院提出请求,由法院审判其要求是否正当合理,并裁定相关权利或义务等的事宜。 - 소의 절차.
- 소의 접수.
- 소의 판결.
- 소를 제기하다.
- 소를 취하하다.
- 김 기자는 자신의 기사에 악성 댓글을 단 사람들을 상대로 소를 접수하였다.
- 박 사장은 이번 신제품 개발과 관련하여 경쟁 업체의 유사 제품 출시에 대해 법원에 소를 제기하였다.
- 全部参考
-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소의 부위'나 '소의 특성이 있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前缀。指“牛的部位”或“有牛的性质”。 - 全部参考
-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작은'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前缀。指“小的”。 - 소가족
- 소강당
- 소공연
- 소공원
- 소괄호
- 소규모
- 소극장
- 소기업
- 소단원
- 소도구
- 소도시
- 소모임
- 소문자
- 소사전
- 소상인
- 소시민
- 소우주
- 소자본
- 소제목
- 소집단
- 소책자
- 소학교
- 소행성
- 全部参考
- 동사와 형용사 또는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无对应词汇) (예사 높임으로) 설명, 의문, 명령, 요청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轻尊)终结语尾。表示说明、疑问、命令、请求。 - 하늘이 참 파랗소.
- 주말이라 그런지 거리에 사람이 참 많소.
- 나는 은행에 잠깐 들렀다 갈 테니 먼저 들어가소.
- 가: 어제 서울에 갔던 일은 잘되었소?
나: 거래처와 해결할 문제가 있었는데 잘 해결되었소. - 全部参考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장소’ 또는 ‘기관’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后缀。指“处所”或“机构”。 - 감옥소
- 강습소
- 개표소
- 거래소
- 검문소
- 검사소
- 검역소
- 관리소
- 관측소
- 교도소
- 교습소
- 구치소
- 기표소
- 대피소
- 매표소
- 목공소
- 발전소
- 배급소
- 변전소
- 보건소
- 보관소
- 보급소
- 사무소
- 상담소
- 세탁소
- 소개소
- 송신소
- 수용소
- 안내소
- 안치소
- 양성소
- 연구소
- 요양소
- 이발소
- 정류소
- 정미소
- 정비소
- 제련소
- 제본소
- 제분소
- 제작소
- 제재소
- 제철소
- 조선소
- 철공소
- 촬영소
- 출장소
- 탁아소
- 투표소
- 파출소
- 판매소
- 합숙소
- 형무소
- 환전소
- 훈련소
- 휴게소
- 휴양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