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사회듣기/사훼듣기]
- 派生词
- 사회하다
- 词类
- 「명사」 名词
1.主持,司仪 1. 회의, 대회, 의식 등의 행사를 진행함. 组织协调会议、 大赛、 仪式等活动。 - 결혼식의 사회.
- 회의의 사회.
- 사회를 맡다.
- 사회를 보다.
- 사회를 부탁하다.
- 아나운서가 모교 축제의 사회를 부탁받고 흔쾌히 응했다.
- 평소 입담이 좋기로 유명한 배우가 시상식의 사회를 맡게 되었다.
- 가: 네 결혼식 사회는 누가 보기로 했어?
나: 신랑 친구 중에 아주 재치 있는 사람이 있어서 그 사람한테 부탁했어. 2.主持人,司仪 2. 회의, 대회, 의식 등의 행사를 진행하는 사람. 组织协调会议、 大赛、 仪式等活动的人。 - 공연의 사회.
- 토론의 사회.
- 사회가 공지하다.
- 사회가 되다.
- 사회가 안내하다.
- 사회는 한 토론자의 발언이 길어지자 이만 줄여 달라고 요청했다.
- 공연의 사회는 다음에 나올 가수를 소개하며 관객들의 호응을 유도했다.
- 가: 예식이 늦어진대?
나: 응, 결혼식 사회는 하객들에게 예식을 삼십 분 늦게 시작하겠다고 말했어. - 发音
- [사회듣기/사훼듣기]
- 派生词
- 사회적2 , 사회적1
- 词类
- 「명사」 名词
1.社会 1. 계층, 직업, 신분 등이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 이루는 집단. 阶层、职业、身份等相似的人聚集并形成的集团。 - 공직 사회.
- 교수 사회.
- 교직 사회.
- 귀족 사회.
- 대학 사회.
- 동포 사회.
- 상류 사회.
- 학생 사회.
- 보다 깨끗한 대학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의견 존중이 중요하다.
- 이번에 발굴된 유물을 통해 당시 귀족 사회의 호화로운 삶을 엿볼 수 있었다.
-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은 어느 사회에서든지 늘 성공하고 인정받기 마련이다.
- 가: 공무원이 뇌물을 받은 사건이 있었다면서요.
나: 네, 뇌물을 받은 공무원은 공직 사회에서 쫓겨날 수밖에 없게 되었어요. 2.社会 2. 학교, 가정, 군대 등과 같이 제한되거나 특수한 집단을 벗어난 일반적인 세계. 脱离学校、家庭,部队等被限制的或特殊集团的一般世界。 - 사회 적응.
- 사회 진출.
- 사회로 나가다.
- 사회로 진출하다.
- 사회에 가다.
- 사회에 나가다.
- 사회에 적응하다.
- 사회에 진출하다.
- 승규는 제대하고 사회에 나와 한동안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었다.
- 여권이 점점 더 신장하면서 여성들의 사회 진출이 점점 더 늘어나고 있다.
- 십 년 동안 군인으로 살아온 그가 사회로 나가 잘 적응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 대학 졸업반인 지수는 학교를 떠나 사회로 나가는 것이 마냥 두렵기만 하였다.
- 민준은 회사에 취직해 사회 생활을 하면 할수록 학창 시절이 점점 더 그리워졌다.
- 가: 선생님, 그 동안 감사했습니다.
나: 사회에 가서도 선생님 잊지 말고 가끔씩 찾아 주렴. 3.社会 3. 가족, 마을, 회사, 국가 등 공동생활을 하는 사람들의 모든 집단. 家族、村庄、公司、国家等进行共同生活的人的所有集团。 - 가부장제 사회.
- 경제 사회.
- 계급 사회.
- 고령화 사회.
- 농경 사회.
- 봉건 사회.
- 시민 사회.
- 자본주의 사회.
- 한국 사회.
- 현대 사회.
- 사회 구성원.
- 사회를 구성하다.
- 사회를 이루다.
- 사회를 지배하다.
- 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인간은 사회를 떠나 살 수 없다.
- 인간은 모든 사람이 행복하게 잘 살 수 있는 평등한 사회를 꿈꿔 왔다.
- 시민들의 활발한 정치 참여는 우리 사회를 더욱 건강하게 해 줄 것이다.
- 세상이 곧 멸망할 것이라는 유언비어가 사회를 더욱 혼란스럽게 하고 있었다.
- 기술의 발달과 컴퓨터의 보급으로 우리나라도 점점 정보화 사회가 되고 있다.
- 가: 난 커서 돈도 많이 벌고 떵떵거리며 잘살 거야.
나: 너 혼자 잘 살 생각만 하지 말고 사회에 도움이 되는 일도 좀 하고 살아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