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통정듣기]
- 派生词
- 통정하다
- 词类
- 「명사」 名词
1.心心相印 1. 서로 마음을 주고받음. 相互交心。 - 깊은 통정.
- 진실한 통정.
- 통정을 하는 사이.
- 통정을 하는 사람.
- 통정을 하고 지내다.
- 그는 평생을 통정을 하는 사람 하나 없이 외롭게 살았다.
- 소녀는 성격이 워낙 내성적이라 아주 가까운 사람들하고만 통정을 했다.
- 가: 자네처럼 깊게 통정을 하며 지낼 수 있는 사람을 만난 것이 참 다행이야.
나: 저야말로 선생님을 알고 지내게 된 것이 행운이지요. 2.诉说苦衷 2. 남에게 자신의 생각을 표현함. 向别人表达自己的想法。 - 통정을 말리다.
- 통정을 삼가다.
- 통정에 귀를 기울이다.
- 박 선생은 누구에게도 통정을 말라고 신신당부했다.
- 일 년 전부터 한글을 배우기 시작한 할머니는 이제 글로 통정을 할 줄도 알게 되셨다.
- 김 씨는 박 씨의 통정에 귀를 기울이고 한참을 듣더니 자신의 생각을 말하기 시작했다.
3.私通,偷情 3. 남녀가 육체적으로 관계를 가짐. 男女之间发生肉体关系。 - 내밀한 통정.
- 은밀한 통정.
- 다른 사람과의 통정.
- 낯선 사람과의 통정.
- 통정을 금하다.
- 그들이 그동안 은밀하게 통정을 해 왔다는 사실이 사람들 사이에 알려졌다.
- 조선 시대의 관리들은 기혼녀와의 통정만 금지되었을 뿐 소실을 둘 수 있었다.
- 그는 어떠한 이유로도 배우자가 아닌 다른 사람과의 통정은 합리화될 수 없다고 말했다.
- 부부가 남편이나 아내가 아닌 다른 사람과 통정을 했다면 처벌해야 한다는 주장을 놓고 찬반이 뜨겁다.
4.人之常情 4. 세상의 일반적인 사정이나 인정. 世间普遍的情况或人情。 - 사회의 통정.
- 현실의 통정.
- 일반적인 통정.
- 그런 얘기는 알면서도 사람들에게 말하기 꺼리는 것이 통정이다.
- 아무리 개인주의적인 사회가 되었다지만 어려운 사람을 보면 돕고자 하는 게 통정이 아닌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