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1.助词 1. 명사, 대명사, 수사, 부사, 어미 등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표시하거나 그 말의 뜻을 도와주는 품사. 添加在名词、代词、数词、副词、词尾等后面,表示它们和其他句子成分的语法关系或帮助表达其意思的词类。 - 토가 사용되다.
- 토를 가르치다.
- 토를 고치다.
- 토를 배우다.
- 토를 사용하다.
- 한국어에서는 앞에 오는 단어에 따라서 다양한 토가 사용이 된다.
- 한국어를 공부할 때 외국인 학생들이 자주 틀리는 것은 바로 토를 잘못 사용하는 것이다.
- 가: 우리는 말할 때 딱히 어떤 토를 사용해야 할지 생각하지 않고 말하는 것 같아.
나: 모국어니까 그렇지. 외국어를 공부할 때는 어떤 조사나 동사를 써야 할지 고민되잖아. 2.韩文助词 2. 한문 구절 끝에 붙여 읽는 한국어 부분. 添加在汉文短语后面的韩语部分。 - 토를 붙이다.
- 토를 달다.
- 토를 만들다.
- 토를 읽다.
- 토를 적다.
- 우리 조상들은 한문을 읽을 때 적절하게 우리말 토를 달아 읽었다.
- 한문을 읽을 때 토를 붙여 읽으면 그 뜻이 더 정확하게 이해가 된다.
- 가: 여기 문헌에 보면 이두로 작게 쓰여 있는 게 있지? 이게 토라는 거야.
나: 아, 그렇구나. 한문에 이두를 사용해서 달아 놨었구나. 몰랐네. 惯用语·谚语1 - 惯用语
- 토(를) 달다
加助词;顶嘴;接话 어떤 말에 대하여 덧붙여 말하다. 接在某些话后面说。 - 선생님 말씀에 꼬박꼬박 토를 달던 학생이 결국 꾸중을 들었다.
- 어른 말씀에 꼬박꼬박 토를 다는 것은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 가: 너는 왜 그 친구를 그렇게 싫어하고 그래?
나: 걔는 누가 말을 할 때마다 토를 달아. 그래서 그냥 같이 말하고 싶지가 않아. 星期六,周六,礼拜六 월요일을 기준으로 한 주의 여섯째 날. 以星期一为基准,一周的第六天。 - 지난 달은 일이 바빠서 토, 일도 내내 출근을 했다.
- 우리 학원의 국어 수업은 화, 목, 토에 있습니다.
- 가: 민준아, 너 여행 간다면서?
나: 응, 이번 주 목, 금, 토가 휴가거든. - 全部参考
-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흙으로 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前缀。指“用土制成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