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저뇽듣기]
- 派生词
- 전용되다1 , 전용하다1
- 词类
- 「명사」 名词
1.专用 1. 남과 공동으로 사용하지 않고 혼자서만 사용함. 不和别人共同使用,只单独使用。 - 대통령 전용.
- 전용 비행기.
- 전용 전화.
- 전용 철도.
- 전용으로 쓰다.
- 대통령은 전용 비행기로 해외 순방 길에 올랐다.
- 그 백만장자는 전용 영화관까지 갖추어 놓은 저택에 산다.
- 가: 네 방이 생기니 좋니?
나: 네, 저만의 전용 공간이 생긴 것 같아서 너무 좋아요! 2.专用 2. 특정한 부류의 사람이나 집단만 사용함. 只有特定领域的人或集团使用。 - 군인 전용.
- 남성 전용.
- 내국인 전용.
- 성인 전용.
- 어린이 전용.
- 여성 전용.
- 외국인 전용.
- 우리 아파트 주차장에는 장애인 전용 주차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 이 자전거는 어린이 전용으로 개발된 것이어서 성인이 타기엔 너무 작다.
- 가: 군에 계신 아드님께서 다치셨다고요?
나: 네. 군인 전용 병원에 입원해 있어요. 3.专用 3. 특정한 목적으로만 사용함. 只用于特定的目的。 - 버스 전용 차선.
- 스포츠 전용 채널.
- 야구 전용 구장.
- 자동차 전용 도로.
- 축구 전용 운동장.
- 국회에서는 복지 전용 예산을 늘리기로 하였다.
- 이 도로는 이십사 시간 동안 버스 전용 차선이 운영된다.
- 가: 국내에는 축구 전용 구장이 부족하다면서요?
나: 축구를 즐기는 팬들 수에 비하면 부족한 편이지요. 4.专用 4. 오직 한 가지만을 사용함. 只用一种。 - 한글 전용.
- 일부 학자들은 공문서에 한글 전용을 의무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 현대 한국인의 일상생활에서는 거의 한글 전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 가: 예전 신문을 보면 한자가 너무 많아서 읽기가 어려워.
나: 맞아, 요새는 신문에서 한글 전용을 택하고 있어서 다행이야. - 发音
- [저ː뇽듣기]
- 派生词
- 전용되다2 , 전용하다2
- 词类
- 「명사」 名词
转用,挪用 계획된 곳에 쓰지 않고 다른 데로 돌려서 씀. 不用在计划好的地方,而用在别的地方。 - 예산 전용.
- 전용이 되다.
- 전용을 논의하다.
- 전용을 승인하다.
- 전용을 하다.
- 이 예산은 사유서를 제출하면 다른 용도로 전용이 가능하다.
- 토지 전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토지를 다른 용도로 사용하게 허가되기도 한다.
- 가: 여기에 원래 공항이 있었나?
나: 원래는 군용 비행장이었는데 민간 공항으로 전용이 되었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