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알ː다듣기]
- 活用
- 아는[아ː는], 알아[아라], 아니[아ː니], 압니다[암ː니다]
- 派生词
- 알리다
- 词类
- 「동사」 动词
1.知道,明白 1. 교육이나 경험, 생각 등을 통해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정보 또는 지식을 갖추다. 通过教育、经验、思考等来,具备与事物或情况相关的信息或知识。 - 가치를 알다.
- 공식을 알다.
- 글자를 알다.
- 노래를 알다.
- 때를 알다.
- 뜻을 알다.
- 방법을 알다.
- 비밀을 알다.
- 사실을 알다.
- 사정을 알다.
- 소식을 알다.
- 속셈을 알다.
- 실상을 알다.
- 음악을 알다.
- 역사를 알다.
- 이유를 알다.
- 전화번호를 알다.
- 정답을 알다.
- 정보를 알다.
- 지리를 알다.
- 진리를 알다.
- 형편을 알다.
- 처음으로 알다.
- 똑똑히 알다.
- 속속들이 알다.
- 어렴풋이 알다.
- 익히 알다.
- 자세히 알다.
- 정확히 알다.
- 확실히 알다.
- 환히 알다.
- 훤히 알다.
- 선생님은 학생들에게 어려운 내용을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셨다.
- 민준이는 그 수학 문제의 답을 아는 듯이 막힘없이 척척 풀었다.
- 직장 동료는 자기가 요즘 얼마나 바쁜지 알지 못하고 일을 시킨다며 투덜대었다.
- 가: 이곳에서 시청으로 가는 길을 알고 있니?
나: 응, 여기에서 버스를 타고 세 정거장을 가면 돼. - 가: 지금 몇 시인지 아니?
나: 응, 지금은 오후 한 시 정각이야. - 句型
- 1이 2를 알다
- 参考句型
- '2에 대하여'로도 쓴다.
2.认识 2. 어떤 사실이나 상황에 대해 의식이나 감각으로 깨닫거나 느끼다. 对于某个事实或情况,以意识感官来发觉到或感觉到。 - 멋을 알다.
- 음식 맛을 알다.
- 인생을 알다.
- 자기 분수를 알다.
- 잘못을 알다.
- 본능적으로 알다.
- 분위기로 알다.
- 육감으로 알다.
- 직감적으로 알다.
- 밖에 나와 보니 날씨가 추운 것을 알겠다.
- 범죄자가 자신의 죄를 알고서 깊이 뉘우치고 있다.
- 땅에 고인 빗물을 보니 어젯밤에 비가 많이 내렸음을 알겠다.
- 민준이는 방에 불이 켜져 있는 것을 보고 누군가가 집에 있음을 알았다.
- 가: 지수가 집에 간다고 인사하는 걸 왜 안 받아 줘?
나: 지수가 갔어? 일에 집중하느라 지수가 가는 것도 알지 못했어. - 句型
- 1이 2를 알다
- 参考句型
- '2에 대하여'로도 쓴다.
3.感到 3. 어떤 심리적인 상태를 마음속으로 깨닫거나 느끼다. 对于某个心理状态,心里发觉到或感觉到。 - 고마움을 알다.
- 고통을 알다.
- 두려움을 알다.
- 마음을 알다.
- 무서움을 알다.
- 부끄러움을 알다.
- 사랑을 알다.
- 수치를 알다.
- 아픔을 알다.
- 은혜를 알다.
- 창피함을 알다.
- 진정으로 알다.
- 잘못을 한 아이들이 창피함을 알고서 고개를 푹 숙였다.
- 은혜를 아는 학생들이 선생님께 정성이 담긴 감사 편지를 썼다.
- 아저씨는 돈 없이 자라서 가난의 아픔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
- 가: 자식을 길러 보니 부모님의 마음을 알겠지요?
나: 네, 부모가 되어 보니 부모님이 나를 얼마나 사랑하셨는지가 느껴지네요. - 가: 부끄러운 것을 아는 애가 어떻게 그런 짓을 할 수 있어?
나: 죄송해요. 다시는 이런 잘못을 저지르지 않을게요. - 句型
- 1이 2를 알다
- 参考句型
- '2에 대하여'로도 쓴다.
4.斟酌 4. 어떤 일을 어떻게 할지 스스로 정하거나 판단하다. 对于怎么做某事,自己决定或判断。 - 알아서 결정하다.
- 알아서 다녀오다.
- 알아서 사용하다.
- 알아서 챙기다.
- 알아서 처리하다.
- 알아서 척척 하다.
- 알아서 행동하다.
- 이 식당은 손님들이 각자 알아서 물과 반찬을 떠다 먹는다.
- 어리기만 하던 동생이 자기 준비물을 알아서 챙길 만큼 많이 자랐다.
- 이 프로그램은 숫자를 입력하기만 하면 알아서 계산을 해 준다.
- 가: 이제 너도 다 컸으니 네 일은 알아서 하도록 해라.
나: 네, 아버지. 이제 제 일은 저 스스로 결정하겠습니다. - 가: 우리 애는 제가 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숙제하고 방 청소를 해요.
나: 아이가 어린데도 자립심을 가지고 있군요. - 句型
- 1이 2를 알다
- 参考句型
- '2에 대하여'로도 쓴다.
5.会,能 5.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다. 具有能做某事的能力或技术。 - 글자를 쓸 줄 알다.
- 기다릴 줄 알다.
- 기타를 칠 줄 알다.
- 놀 줄 알다.
- 들을 줄 알다.
- 수영할 줄 알다.
- 연주할 줄 알다.
- 요리할 줄 알다.
- 운전을 할 줄 알다.
- 읽을 줄 알다.
- 즐길 줄 알다.
- 참을 줄 알다.
- 피아노를 칠 줄 아는 지수는 웬만한 노래는 반주할 수 있다.
- 언니는 오랜 자취 생활을 해서 여러 가지 요리를 할 줄 안다.
- 가: 일본어를 할 줄 아세요?
나: 네, 일본어로 간단한 의사소통은 할 수 있어요. - 가: 어머, 아기가 글자를 읽을 줄 아네요.
나: 네, 우리 애가 한글을 뗐거든요. 6.管 6. 어떤 일에 관계하여 참여하거나 관심을 가지다. 对于关联到的某事,参与并关心。 - 알 바 아니다.
- 김 팀장은 자기 알 바 아니라며 이 일을 책임지지 않으려고 했다.
- 그 일은 내가 알 바 아니니 네가 하고 싶은 대로 처리해라.
- 가: 우리 팀 과제의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지 상관없다는 뜻이야?
나: 내 알 바 아냐. 난 더 이상 신경 쓰지 않을래. 7.喜爱 7. 잘 모르던 대상의 좋은 점을 알게 되어 가까이하려 하다. 对于不熟悉的对象,得知好处而要靠近。 - 남자를 알다.
- 노름을 알다.
- 담배를 알다.
- 돈맛을 알다.
- 돈을 알다.
- 세상맛을 알다.
- 세상을 알다.
- 술을 알다.
- 여자를 알다.
- 일찍 알다.
- 아저씨는 처음 술을 알고 나서부터 지금까지 쭉 술을 즐겼다고 했다.
- 친구는 어렸을 때부터 사회생활을 해서 남들보다 사회를 빨리 알게 되었다.
- 가: 우리 오빠는 돈맛을 안 뒤 늘 큰돈을 벌 궁리만 해.
나: 어쩐지 너희 오빠가 나한테 어디 돈이 벌릴 만한 사업이 없냐고 물어 보더라. 8.认 8. 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소중히 생각하다. 重视某个人或事物。 - 가족만 알다.
- 공부만 알다.
- 돈만 알다.
- 일만 알다.
- 자기만 알다.
- 그 모범생은 공부만 알고 다른 놀이는 할 줄 모르는 학생이었다.
- 김 사장은 회사 일만 알았지 가족을 돌보는 일에는 어떤 신경도 쓰지 않았다.
- 가: 저 사람은 돈만 알아.
나: 응, 저 사람은 늘 돈 벌 생각만 하더라고. 9.懂,明白 9. 상대방의 어떤 명령이나 요청에 대해 그대로 하겠다는 동의의 뜻을 나타내는 말. 对于对方的某个命令或请求,同意听从。 - 아이는 선생님의 말을 듣고 알겠다는 듯이 고개를 끄덕거렸다.
- 가: 짐이 너무 무거운데 좀 들어 주세요.
나: 알았어요. 이리 주세요. - 가: 오늘은 가족 행사가 있으니 저녁에 일찍 오너라.
나: 네, 엄마. 알겠어요. - 가: 이 책을 지수에게 전달해 줘.
나: 알았어. 내가 책임지고 지수에게 이 책을 줄게. 10.认识,相识 10. 전에 본 적이 있거나, 사귐이 있어 친하게 지내다. 以前见过,或有过交流而亲密往来。 - 아는 체.
- 알고 지내다.
- 서로를 알다.
- 얼굴을 알다.
- 잘 알다.
- 이 친구는 동생의 소개로 알게 된 사람이다.
- 모임에서 어떤 사람이 내게 아는 체를 하면서 인사했다.
- 김 선생이 조금 무뚝뚝해 보이지만 알고 보면 매우 친절한 사람이다.
- 가: 두 사람이 서로 아는 사이였어요?
나: 네, 고등학교 동창이에요. - 句型
- 1이 (2와) 알다, 1이 2를 알다
- 参考句型
- '2와'가 없으면 1에 복수를 나타내는 말이 오고 '2에 대하여'로도 쓴다.
11.看做 11. 어떤 사물이나 사람을 그러하다고 여기거나 생각하다. 对于某个事物或人,认为或觉得如此。 - 돈을 제일로 알다.
- 술을 물로 알다.
- 자식을 전부로 알다.
- 친구를 적으로 알다.
- 바보로 알다.
- 영웅으로 알다.
- 우습게 알다.
- 친구가 내 볼펜을 자기 것으로 잘못 알고서 가져가 버렸다.
- 술에 취한 아저씨는 옆집이 자기 집인 줄 알고 대문을 열려고 했다.
- 가: 너 이 문제를 풀 수 있어?
나: 이게 얼마나 쉬운 문제인데. 너는 나를 바보로 아는 거야? - 句型
- 1이 2를 3으로 알다, 1이 2를 3-고 알다
12.以为 12. 어떤 사실을 그러하다고 여기거나 생각하다. 对于某个事实,认为或觉得如此。 - 고백을 농담으로 알다.
- 장난으로 알다.
- 예쁘다고 알다.
- 살아 있다고 알다.
- 통과했다고 알다.
- 감독은 자기가 이끄는 팀이 경기에서 우승할 줄 알고 있었다고 답했다.
- 동생은 형의 말을 거짓말로 알아서 좀처럼 믿으려고 하지 않았다.
- 김 사장은 계약서에 서명을 하고 난 뒤 계약이 이루어진 것으로 알겠다고 말했다.
- 가: 그 과목의 시험은 다음 주에 보는데 미리부터 공부하는 거야?
나: 정말이야? 나는 이 과목의 시험이 내일인 줄로 알았어. - 가: 민준이가 공부는 안 하고 놀기만 하더니 결국 시험에 떨어졌대.
나: 난 그 녀석이 일찌감치 시험에 떨어질 줄로 알았지. - 句型
- 1이 2를 3으로 알다, 1이 2를 3-고 알다
惯用语·谚语6 - 惯用语
- 알 게 뭐야[뭐나]
管它 어떻게 되든지 상관이 없음을 뜻하는 말. 不管怎么样,都没关系。 - 가: 너희 반에서 전교 일등이 나왔다면서?
나: 내가 일등을 한 것도 아닌데 알 게 뭐야. - 惯用语
- 알게 모르게
不知不觉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在自己没觉察到的时候。 - 짝꿍과 나는 알게 모르게 단짝 친구가 되어 있었다.
- 처음 회사 생활을 시작한 유민이는 알게 모르게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다.
- 惯用语
- 알다가도 모르다
似懂非懂 어떤 일이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不太明白某个事情。 - 가: 여자 친구가 내게 화를 냈는데 왜 그러는지 정말 알다가도 모르겠어.
나: 네가 그 애에게 실수한 것이 있는지 잘 한번 생각해 봐. - 谚语
- 아는 것이 병[탈]
1.知道太多也不是好事;智者多忧 1. 정확하지 못하거나 분명하지 않은 지식은 오히려 걱정거리가 될 수 있다는 말. 不正确或模糊的知识,反而会成为忧愁。 - 가: 승규가 김 선배 일에 대해 아는 척 하다가 크게 실수를 했대.
나: 아는 것이 병이라더니 딱 그 꼴이네. 2.眼不见为净;眼不见,心不烦 2. 아무것도 모르면 마음이 편하고 좋지만 무엇을 알고 있으면 그것 때문에 걱정이 생겨 오히려 좋지 않다는 말. 只要没有看见或不在眼前,也就不会为这操心或烦恼。 - 가: 어머니께서 형의 어려운 사정을 듣고 난 뒤부터 밤에 잠도 못 주무셔.
나: 아는 게 탈이라던데 차라리 어머님이 모르시는 편이 더 나았겠다. - 谚语
- 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
多问不吃亏;摸着石头过河 잘 아는 일이라도 잘 확인하여 실수가 없게 하라는 말. 即使是很熟悉的事情,也得确认好别有失误。 - 가: 이건 내 전공 분야니까 문제없어.
나: 그래도 아는 길도 물어 가랬다고 다시 한 번 더 꼼꼼히 확인해 봐. - 谚语
- 아는 놈 당하지 못한다
敌不过智者;百无一失 일이나 상황을 잘 알고 덤비는 상대는 이길 수 없다. 赢不过对事情或情况有充分把握的人。 - 가: 언니가 처음부터 모든 걸 다 알고 따지는데 정말 어떤 변명도 못 하겠더라.
나: 아는 놈 당하지 못한다고 하잖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