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1.虱子 1. 몸의 길이는 1~4mm로 편평한 모양이며, 사람의 몸에 붙어 살면서 피를 빨아 먹는 곤충. 体长约为1~4mm,呈扁平状,寄生在人体上吸人血的昆虫。 - 이가 기어 다니다.
- 이가 득실거리다.
- 이를 발견하다.
- 이를 없애다.
- 이를 잡다.
- 이를 죽이다.
- 온몸이 간지러운 유민이는 몸에 이가 붙어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했다.
- 승규는 몸을 기어 다니는 이가 너무 작아 눈에 보이지 않아 잡을 수가 없었다.
- 가: 오늘 우리 부대는 이를 없애기 위해 소독을 실시한다.
나: 네, 알겠습니다. 2.头虱 2. 몸의 길이는 약 2~4mm로 연한 회색을 띠며, 사람의 머리에서 피를 빨아 먹는 곤충. 体长约为2~4mm,呈淡灰色,在人的头上吸血的昆虫。 - 이가 득실거리다.
- 이를 발견하다.
- 이를 없애다.
- 이를 잡다.
- 이를 죽이다.
- 민준이는 이라도 있는 사람처럼 머리를 계속 긁어댔다.
- 유민이는 머리에 생긴 이를 없애기 위해 참빗으로 머리를 빗어 주었다.
- 가: 그 당시에는 잘 씻을 수 없어서 아이들 머리에 이가 많이 있었어.
나: 아, 그렇군요. 惯用语·谚语1 - 惯用语
- 이 잡듯이
翻个底朝天 빈틈없이 모조리 뒤져 찾는 모양. 不漏掉一处,翻遍整个地方而寻找的模样。 - 숨바꼭질 놀이에서 술래가 된 지수는 숨어 있는 친구들을 찾기 위해 집안을 이 잡듯이 뒤졌다.
- 가: 그 열쇠가 대체 어디로 갔을까?
나: 글쎄. 나도 이 잡듯이 방을 뒤졌는데 없네. (无对应词汇) 한글 자모 ‘ㅣ’의 이름. 韩文字母“ㅣ”的名称。 1.牙齿 1. 사람이나 동물의 입 안에 있으며 무엇을 물거나 음식물을 씹는 일을 하는 기관. 长在人或动物嘴里,用于咬东西或咀嚼食物的器官。 - 날카로운 이.
- 하얀 이.
- 이가 나다.
- 이가 상하다.
- 이가 썩다.
- 이를 닦다.
- 이를 빼다.
- 이로 깨물다.
- 이로 씹다.
- 호랑이가 날카로운 이를 드러내며 운다.
- 유민이가 이를 드러내 보이며 환하게 웃는다.
- 지수는 어릴 때부터 이를 깨끗이 닦는 습관이 잘 들었다.
- 이가 막 나기 시작한 아기가 손에 쥔 것을 자꾸 입으로 가져간다.
- 가: 민준아, 밥 먹은 후에는 이를 꼭 닦으렴.
나: 네, 엄마. 2.齿 2. 연장의 뾰족뾰족한 날. 指工具尖尖的刃。 - 이가 날카롭다.
- 이가 무디다.
- 이가 뾰족뾰족하다.
- 톱의 이가 무뎌져서 잘 들지 않는다.
- 이 톱니바퀴는 이가 날카로우니까 다룰 때 조심해.
- 가: 이 톱니가 이가 나간 것 같아요.
나: 네, 새로운 것으로 교체해 드릴게요. 3.齿轮 3. 기구나 기계 등에 있는, 다른 기구나 기계 등과 맞붙일 수 있는 틈. 在器具、机器等上的,可与别的器具、机器相啮合的缝隙。 - 이가 맞다.
- 이가 어긋나다.
- 이를 맞추다.
- 나사가 이 드라이버하고 이가 안 맞는데?
- 이 퍼즐은 이가 안 맞는 거 보니까 여기에 들어가는 게 아닌가 봐.
- 가: 이렇게 이를 맞춰서 쌓아 올리면 되는 거야.
나: 네, 알겠어요. 惯用语·谚语8 - 惯用语
- 이(가) 갈리다
咬牙切齿 매우 분하고 화가 나서 독한 마음이 생기다. 很窝火、很生气而下狠心。 - 믿었던 그 사람한테 사기를 당한 생각을 하면 정말 이가 갈린다.
- 惯用语
- 이(가) 떨리다
咬牙切齿 참을 수 없이 몹시 분하거나 괴롭고 싫다. 觉得很窝火或很痛苦而无法忍受。 - 친한 친구에게 배신당한 생각만 하면 이가 떨린다.
- 句型
- 1이 이(가) 떨리다
- 参考词
- 치(가) 떨리다
- 惯用语
- 이(가) 빠지다
掉口子;有缺口 그릇이나 병 등의 입구나 칼날의 일부분이 깨져 나가다. 碗、瓶子等的口或颈的一部分被掉落下来。 - 가: 이쪽에 이가 빠진 그릇은 따로 빼서 정리해 놓아라.
나: 네, 알겠어요. - 惯用语
- 이(를) 갈다[갈아 마시다]
咬牙切齿 매우 분하고 화가 나서 독한 마음을 먹고 기회를 엿보다. 很窝火或很生气,因此下狠心而寻找机会。 - 김 형사는 번번이 자신보다 한발 앞서는 범인을 보며 꼭 잡겠다고 이를 갈았다.
- 惯用语
- 이(를) 떨다
咬牙切齿 어떤 일에 대해 몹시 분하게 여기거나 괴로워하고 싫어하다. 对某事深感痛恨或痛恶。 - 희생자의 가족들은 범인의 잔혹한 범죄에 이를 떨며 눈물을 흘렸다.
- 句型
- 1이 이(를) 떨다
- 参考词
- 치(를) 떨다
- 惯用语
- 이를 악물다[깨물다/물다]
1.咬牙;咬紧牙关 1. 어려운 상황을 헤쳐 나갈 결심을 하다. 下定决心克服困难。 - 민준이는 중요한 계약을 성사시키지 못했지만 포기하지 않겠다며 이를 악물었다.
2.咬牙;咬紧牙关 2. 매우 어렵고 힘든 상황을 애써 견디다. 艰难地忍受很十分艰难的状况。 - 가: 그 시절에 우리는 이를 악물고 고된 훈련을 다 해냈지.
나: 정말 다시 하라면 못할 거야. - 谚语
-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살지[산다]
没有牙齿牙龈顶 필요로 하는 것이 없어도 없는 대로 다른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다. 即便没有必须的要素,也能用其它方法解决。 - 가: 씻어 놓은 컵이 없네?
나: 이 없으면 잇몸으로 사는 거지, 뭐. 컵 대신 이 그릇을 써. - 谚语
- 이에 신물이 돈다[난다]
厌恶透了;深恶痛绝 어떤 것이 매우 싫증이 날 정도로 지긋지긋하다. 很讨厌某事某物,达到十分腻烦的程度。 - 가: 또 이걸 먹어야 해?
나: 그러니까 말이야. 일주일째 이것만 먹으니까 이에 신물이 돈다. - 发音
- [이듣기]
- 词类
- 「의존 명사」 不完全名词
(无对应词汇) ‘사람’을 나타내는 말. 表示“人”。 - 지금 밖에 지나가는 이가 바로 내 사촌 동생이다.
- 영화가 시작되자 떠들던 이들도 모두 말을 멈추고 화면을 바라보았다.
- 가: 어떤 사람이 밖에서 너를 찾더라.
나: 글쎄요, 저는 모르는 이예요. 1.这个 1.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키는 말. 指代离说话人较近的,或说话人所想的对象。 - 지금부터 관련 지도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이를 잘 보시기 바랍니다.
- 제 손에 비둘기 한 마리가 있습니다. 이를 가지고 꽃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 가: 어머, 이를 어째?
나: 무슨 일이야? 집에다 뭐를 놓고 왔어? 2.这 2.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키는 말. 指代前面已经讲过的对象。 - 제가 방금 말씀드린 이와 같은 사실을 모두 잘 기억해 주시기 바랍니다.
- 회의를 한 달에 한 번으로 줄이자는 의견이 있는데 이에 반대하시는 분 계십니까?
- 가: 해외에서 많은 젊은이들이 한국의 경제를 배우러 유학을 오고 있습니다.
나: 이는 세계 경제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위상을 잘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3.(无对应词汇) 3. ‘이 사람’을 가리키는 말. 指代“这个人”。 - 이들이 시위하는 이유를 도대체 모르겠다.
- 우리 회사는 매년 신입사원을 뽑는데 내가 하는 일이 이들을 교육시키고 관리하는 일이다.
- 가: 같이 오신 분들은 누구십니까?
나: 이들이 일전에 말씀드린 제 동료들입니다. 1.这,这个 1. 말하는 사람에게 가까이 있거나 말하는 사람이 생각하고 있는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 用于指示与话者离得近的物品,或用于指示话者所想的对象。 - 여기 이 녀석이 바로 벽에다 낙서를 한 녀석이에요.
- 나는 이 렌즈를 사용해서 찍은 사진들의 느낌이 참 좋아.
- 이 작품들은 당시로는 파격적이었던 소재들로 가득 차 있다.
- 이 모양으로 일이 계속 진행되다가는 안 하느니만 못한 결과가 나오겠다.
- 정 사장은 자신이 반드시 성공할 것이라고 믿었기 때문에 이 실패에 상당히 놀란 모양이었다.
- 가: 지수야, 너 그런 철학적인 책도 읽어?
나: 이 책을 읽으면 삶의 의미가 좀 다르게 느껴질까 해서 읽어 보는 거야. 2.这 2.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대상을 가리킬 때 쓰는 말. 用于指示刚才所说的对象。 - 방금 들었던 이 비유는 이 작가가 즐겨 사용했던 유명한 비유이다.
- 열정과 도전 정신, 민준이를 표현하자면 이 두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 지수는 유난히 아이스크림을 좋아하는데 이 점도 유민이와 잘 맞는다.
- 지금까지 이야기한 문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 스스로가 변화해야 한다.
- 가: 서로 믿고 의지하며 살아가길 바랍니다.
나: 이 말씀 새기며 잘 살겠습니다. 惯用语·谚语1 - 惯用语
- 이 핑계 저 핑계
这样那样的借口 주로 어떤 일을 하지 않으려고 대는 여러 가지 핑계. 主要指为了不做某事而找各种借口。 - 우리가 대화를 제의하면 저쪽에서는 이 핑계 저 핑계를 대가며 자리를 피했다.
- 가: 엄마, 제가 숙제를 안 하려고 그런 게 아니라요. 사실은 책을 학교에 놓고 왔어요.
나: 너 자꾸 이 핑계 저 핑계 대면서 거짓말할 거야? - 发音
- [듣기]
- 全部参考
- 받침 있는 말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조사」 助词
1.(无对应词汇) 1. 어떤 상태나 상황의 대상이나 동작의 주체를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行为的主体或状态描述的对象。 - 오늘 밤은 달이 참 밝다.
- 나는 신이 있다고 믿는다.
- 학교 앞에 벚꽃이 예쁘게 피었더라.
- 가: 어제 새로 생긴 중국집에 갔는데 짜장면이 맛있더라.
나: 그래? 나도 짜장면 먹으러 한 번 가야겠네. 2.(无对应词汇) 2. 바뀌게 되는 대상이나 부정하는 대상임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变化或否定的对象。 - 저에 대한 소문은 사실이 아닙니다.
- 민준이는 내 아들이 아니고 조카다.
- 우리 팀이 우승을 하다니 꿈이 현실이 됐다.
- 가: 승규는 커서 뭐가 되고 싶니?
나: 저는 연예인이 되고 싶어요. 参考 받침 있는 명사 뒤에 붙여 쓴다. 주로 '되다', '아니다'와 함께 쓴다. - 参考词
- 가3
3.(无对应词汇) 3. 앞의 말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强调。 - 승규는 온다고 한 지가 한 시간이 지났는데 왜 안 와?
- 가: 여보, 점심에는 국수를 해 먹을까요?
나: 나는 국수 말고 볶음밥이 먹고 싶은데. 参考 받침 있는 명사나 부사어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가3
二 일에 일을 더한 수. 一加一所得的数目。 - 일에 이를 더하면 삼이다.
- 동생은 손가락 두 개를 펴며 이라고 말했다.
- 가: 내가 일 번을 뽑았는데 다음은 누구지?
나: 나야. 내가 숫자 이를 뽑았어. 1.二 1. 둘의. 两个的。 - 이 단.
- 이 밀리미터.
- 이 분.
- 이 리터.
- 이 센티미터.
- 이 일.
- 이 킬로그램.
- 이 톤.
- 나는 이 개월 동안 방학을 맞아서 유럽 여행을 다녀왔다.
- 새로 들어온 농구 선수는 이 미터가 넘는 큰 키를 자랑했다.
- 가: 우리가 작년 봄에 만났는데 벌써 겨울이 되었군요.
나: 이번 겨울이 지나면 꼬박 이 년이 흐른 셈입니다. 2.第二 2. 두 번째의. 第二个的。 - 이 교시.
- 이 반.
- 이 번.
- 이 장.
- 이 층.
- 이 회.
- 초등학교에 입학해서 일 년을 보낸 동생은 이제 이 학년이 되었다.
- 나는 소설책이 너무 재미있어서 빠르게 일 권을 읽고 이 권을 읽기 시작했다.
- 가: 새로 이사 가는 곳은 몇 층이세요?
나: 네. 이 층입니다. (이는데, 이니, 이는, 인, 일, 입니다)→ 일다 (이어, 이어서, 이으니, 이으면, 이은, 이을, 이었다, 이어라)→ 잇다 - 全部参考
- 받침 없는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无对应词汇) (예사 낮춤으로) 상태나 느낌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轻卑)终结语尾。表示状态或感受。 - 어르신들께 좋은 일을 하고 나니 마음이 뿌듯하이.
- 같이 하던 일이 잘못되어서 자네한테 많이 미안하이.
- 옆집에 사는 여자는 목소리도 곱고 모습도 참 참하이.
- 가: 자네 아들이 저축을 많이 해서 큰 상을 받는다며?
나: 그렇네. 내 아들이지만 정말 장하이. 1.(无对应词汇) 1. '그러한 것'의 뜻을 더하고 명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那样”,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名词。 参考 일부 형용사, 동사의 어간 뒤에 붙는다. 2.(无对应词汇) 2. ‘사람’, ‘사물’ 또는 ‘일’의 뜻을 더하고 명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人、物、事”,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名词。 - 길잡이
- 떠돌이
- 말더듬이
- 목걸이
- 미닫이
- 옷걸이
- 젖먹이
参考 일부 명사와 동사 어간의 결합형 뒤에 붙는다. 3.(无对应词汇) 3. ‘사람’ 또는 ‘사물’의 뜻을 더하고 명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人”或“物”,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名词。 - 까막눈이
- 까불이
- 깜둥이
- 깜빡이
- 깡깡이
- 깽깽이
- 꺼벙이
- 꿀꿀이
- 끈끈이
- 노랑이
- 누렁이
- 덜렁이
- 동강이
- 됨됨이
- 딸딸이
- 딸랑이
- 땅딸이
- 뚱뚱이
- 못난이
- 절름발이
- 멍청이
- 미치광이
- 바둑이
- 뺑뺑이
- 얼간이
- 오뚝이
- 왕눈이
- 외팔이
- 육손이
- 점박이
- 짝짝이
- 쭉정이
- 팔푼이
- 합죽이
- 허풍선이
- 홀쭉이
- 흰둥이
参考 일부 명사, 어근, 의성어, 의태어 뒤에 붙는다. 1.(无对应词汇) 1. ‘사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后缀。指“使动”。 - 곁들이다
- 기울이다
- 기죽이다
- 끓이다
- 내보이다
- 녹이다
- 누이다
- 덧붙이다
- 들이다
- 떠먹이다
- 맞붙이다
- 먹이다
- 모아들이다
- 물들이다
- 보이다
- 붙이다
- 삭이다
- 선보이다
- 속이다
- 숙이다
- 썩이다
- 애먹이다
- 욕보이다
- 장가들이다
- 절이다
- 정들이다
- 졸이다
- 죽이다
- 줄이다
- 参考词
- -구-1, -기-1, -리-3, -우-2, -추-, -히-1
2.(无对应词汇) 2.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后缀。指“被动”。 - 가로놓이다
- 감싸이다
- 건너다보이다
- 괴이다
- 굽어보이다
- 까이다
- 깎이다
- 깨이다
- 꺾이다
- 꼬이다
- 꾀이다
- 꿰이다
- 끼이다
- 낚이다
- 내다보이다
- 내려다보이다
- 놓이다
- 닦이다
- 덮이다
- 둘러싸이다
- 뒤덮이다
- 뒤섞이다
- 들볶이다
- 들여다보이다
- 떼이다
- 뜨이다
- 매이다
- 묶이다
- 밉보이다
- 바라보이다
- 베이다
- 볶이다
- 쌓이다
- 섞이다
- 쏘이다
- 쓰이다
- 얽매이다
- 에워싸이다
- 엮이다
- 엿보이다
- 옥죄이다
- 우러러보이다
- 짜이다
- 차이다
- 치이다
- 파이다
- 트이다
- 휘덮이다
- 휩싸이다
3.(无对应词汇) 3. ‘사동’의 뜻을 더하고 동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使动”,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动词。 - 全部参考
- 일부 수사, 명사의 뒤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그 수량의 사람'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后缀。指“那个数量的人”。 1.(无对应词汇) 1. '그러하게'의 뜻을 더하고 부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那样地”,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副词。 - 굳이
- 깊숙이
- 느닷없이
- 더없이
- 똑같이
- 많이
- 실없이
- 즐거이
- 틀림없이
- 헛되이
参考 일부 형용사의 어근이나 어간 뒤에 붙는다. - 参考词
- -히2
2.(无对应词汇) 2. '그것마다 그러하게'의 뜻을 더하고 부사로 만드는 접미사. 后缀。指“每个都那样地”,加在一些词根后面组成副词。 - 낱낱이
- 누누이
- 다달이
- 번번이
- 샅샅이
- 올올이
- 일일이
- 점점이
- 줄줄이
- 집집이
- 짬짬이
- 첩첩이
- 층층이
- 켜켜이
- 칸칸이
- 틈틈이
- 푼푼이
参考 일부 1음절 명사의 반복 구성 뒤에 붙는다. - 参考词
- -히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