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1.(无对应词汇) 1. 어떤 대상이 다른 것과 대조됨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某个对象与另一个形成对照。 - 동생은 부산에 살고 나는 서울에 살고 있다.
- 나는 찌개는 못 끓이는데 볶음밥은 잘 만들어.
- 오늘은 더웠지만 내일은 비가 온다고 한다.
- 가: 네가 물품 구매를 맡을래?
나: 그래. 다른 일은 못해도 물건 사는 일은 자신 있어. 参考 받침 있는 명사나 부사어 등의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ㄴ2, 는
2.(无对应词汇) 2. 문장 속에서 어떤 대상이 화제임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某个对象是句中的话题。 - 어제 먹은 저녁상은 나 혼자서 다 차린 거야.
- 이번 어머니 생신은 동생과 내가 준비하기로 했다.
- 도서관은 지수와 내가 처음 만난 장소이다.
- 가: 저기 보이는 목욕탕이 이 동네에서 제일 큰 목욕탕이지?
나: 응, 저 목욕탕은 주말마다 어머니와 내가 가는 곳이기도 해. 3.(无对应词汇) 3. 강조의 뜻을 나타내는 조사. 助词。表示强调。 - 바쁘더라도 아침은 꼭 챙겨 먹어.
- 내일은 꼭 담배를 피우지 않을 거야.
- 배탈이 났으니 차가운 음식은 드시지 마세요.
- 가: 열심히 공부하고 있으니 올해는 꼭 시험에 합격하게 될 거야.
나: 그렇게 되기만 하면은 참 좋을 텐데. 参考 받침 있는 명사나 부사어, 연결 어미 등의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ㄴ2, 는
1.银 1. 귀금속이나 그릇 등을 만드는 데 쓰는, 흰 광택이 나고 무른 성질이 있는 금속. 制作贵金属或碗等时使用的,有白色光泽的软性金属。 - 금과 은과 동.
- 은을 생산하다.
- 은을 캐다.
- 은으로 되다.
- 은으로 만들다.
- 한국은 금과 은의 생산량이 비교적 적은 편이다.
- 철이 갖는 차가운 느낌에 비하면 은은 따뜻한 느낌을 준다.
- 유럽 인들은 전통적으로 은으로 만든 포크나 나이프 등을 귀하게 여겼다.
- 가: 반지 예쁘다. 뭐로 만든 거야?
나: 이거, 은으로 된 반지야. 2.银 2. ‘은색의’, ‘은으로 만든’의 뜻을 나타내는 말. 表示“银色的”、“银制”的意思。 - 은가락지.
- 은갈치.
- 은거울.
- 은고리.
- 은구슬.
- 은귀고리.
- 은그릇.
- 은돈.
- 은목걸이.
- 은반지.
- 은방울.
- 은비녀.
- 은시계.
1.(无对应词汇) 1. 앞의 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사건이나 동작이 과거에 일어났음을 나타내는 어미. 语尾。使前面的词具有定语功能,表示事件或动作过去已经发生。 - 지수는 밥을 먹은 뒤에 양치를 했다.
- 나는 채소들을 씻은 후 다듬어 두었다.
- 승규는 잡은 물고기들을 도로 놓아주었다.
- 가: 이 책, 재미있는데 빌려줄까?
나: 벌써 읽은 거야. 다른 책은 없어? 参考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ㄴ3, -ㄹ, -는2, -던2, -을
2.(无对应词汇) 2. 앞의 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사건이나 동작이 완료되어 그 상태가 유지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어미. 语尾。使前面的词具有定语功能,表示事件或动作完成后其状态一直持续。 - 승규는 피곤했는지 앉은 채로 졸고 있다.
- 나는 먹다 남은 반찬들을 넣고 비빔밥을 해 먹었다.
- 구두를 신은 여자가 또각또각 소리를 내며 걸어간다.
- 하교 시간이라 교복을 입은 학생들이 버스에 가득했다.
参考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ㄴ3, -ㄹ, -는2, -던2, -을
3.(无对应词汇) 3. 앞의 말이 관형어의 기능을 하게 만들고 현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미. 语尾。使前面的词具有定语功能,表示现在的状态。 - 산 정상에는 키가 작은 나무들이 자라고 있었다.
- 넓은 바다를 보니 가슴까지 확 트이는 것 같았다.
- 주말이라 공원에는 많은 사람들이 산책을 즐기고 있었다.
- 가: 와, 정말 높다. 대체 몇 층이야?
나: 이 빌딩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래. 参考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 参考词
- -ㄴ3, -ㄹ, -는2, -던2, -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