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1.快 1. 일이나 행동을 빨리 하도록 재촉하는 말. 用于催促做事或行动。 - 어서 가다.
- 어서 말하다.
- 어서 먹다.
- 어서 서두르다.
- 어서 일어나다.
- 여덟 시야. 어서 일어나. 지각하겠다.
- 어서 좀 먹어. 하루 종일 아무것도 입에 대지 않으면 어떡하니.
- 가: 어서 해치워 버리자.
나: 그래. 주말까지 야근할 수는 없어. 2.请,快 2. 반갑게 맞아들이거나 간절히 권하는 말. 用于喜悦地迎接或者诚恳地劝说。 - 어서 들다.
- 어서 오다.
- 어서 들어오다.
- 어서 오너라. 많이 기다렸단다.
- 어서 눈 좀 떠. 제발.
- 가: 어서 와. 오느라 고생 많았지?
나: 아니에요, 사모님. 그간 평안하셨어요? 3.赶快 3. 지체 없이 빨리. 不拖延而快地。 - 어서 걷다.
- 어서 말하다.
- 어서 먹다.
- 어서 처치하다.
- 어서 출발하다.
- 학교 앞에 유명한 가수가 왔다고 하니 어서 가서 그 가수를 봐야겠다.
- 산에서 길을 잃은 남자는 어서 날이 밝아 사람들에게 구조되기를 바랐다.
- 가: 이러다가 학교에 늦겠어.
나: 어서 출발하자. - 全部参考
- ‘이다’, 끝음절의 모음이 ‘ㅏ, ㅗ’가 아닌 동사와 형용사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1.(无对应词汇) 1. 앞의 말과 뒤의 말이 순차적으로 일어남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连接语尾。表示前后内容依次发生。 - 지수는 친구에게 화분을 하나 얻어서 키우기 시작했다.
- 나는 편지에 작은 사진을 함께 넣어서 친구에게 보냈다.
- 할머니는 글을 배워서 손자에게 직접 편지를 쓰고 싶었다.
- 차가 너무 막히자 승규는 택시에서 내려서 그냥 뛰기 시작했다.
- 가: 겉옷을 어디에 둘까요?
나: 벗어서 옷걸이에 걸어라. 2.(无对应词汇) 2. 이유나 근거를 나타내는 연결 어미. 连接语尾。表示理由或根据。 - 지수는 시간이 없어서 식사도 못 했다.
- 나는 약속을 못 지켜서 친구에게 많이 미안했다.
- 날씨가 추워서 나는 어제 하루 종일 집에 있었다.
- 가: 갑자기 왜 배가 아파?
나: 저녁을 너무 많이 먹어서 체한 것 같아. 3.(无对应词汇) 3.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 连接语尾。表示手段或方法。 - 우리는 다음 장소까지 걸어서 이동하기로 했다.
- 우리 가족은 모닥불에 고구마를 구워서 먹었다.
- 지수는 종이를 접어서 꽃과 동물 등을 곧잘 만들어 냈다.
- 가: 네가 직접 그린 그림이야? 정말 멋있다.
나: 시간을 정말 많이 들여서 완성한 거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