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1.市 1.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지방 행정 구역. 以城市为中心的地方行政区域。 - 시 소유.
- 시 예산.
- 시 지원.
- 시의 미래.
- 시의 발전.
- 예산이 부족해지자 시에서는 시 소유의 땅을 팔기로 했다.
- 시장은 시의 발전을 위해서 능력 있는 인재를 뽑겠다고 했다.
- 우리 시에서는 힘들게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학비를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2.市政府 2. 시의 행정 사무를 맡아 보는 기관. 负责市行政事务的机构。 - 시에 소속되다.
- 시에 항의하다.
- 시에서 나오다.
- 시에서 맡다.
- 시에서 처리하다.
- 이번 도로 건설 사업은 시에서 맡고 있다.
- 민준은 계약직이기 때문에 시 소속 공무원은 아니다.
时 사람이 태어난 시각. 人出生的时刻。 - 태어난 시.
- 시가 나쁘다.
- 시를 맞추다.
- 시에 맞다.
- 시가 틀리다.
- 너는 태어난 시가 어떻게 되니?
- 시를 맞추어 제왕 절개 수술을 시작했다.
- 사주는 그 사람의 시에 근거해 길흉화복을 점친다.
- 그는 태어나자마자 버려져서 자신의 시도 모른 채 살아왔다.
- 发音
- [시듣기]
- 派生词
- 시적2 , 시적1
- 词类
- 「명사」 名词
诗 글쓴이의 생각과 느낌을 리듬이 있는 형식으로 나타낸 문학 작품. 通过有韵律的形式来表达作者的想法和感受的文学作品。 - 시를 낭송하다.
- 시를 쓰다.
- 시를 읊다.
- 시를 읽다.
- 시를 짓다.
- 시를 낭송할 때는 시어의 운율이 드러나도록 읽어야 한다.
- 문학적 감성이 뛰어난 그는 그 자리에서 감동적인 시를 한 수 지어 낭송하였다.
- 가: 선생님, 시 쓰는 방법을 잘 모르겠어요.
나: 시를 작성할 때 자신의 생각을 간결하고 함축적으로 표현하도록 노력해 보세요. - 发音
- [시듣기]
- 词类
- 「의존 명사」 不完全名词
1.点,点钟 1. 하루를 스물넷으로 나누었을 때 그 하나를 나타내는 시간의 단위. 计时单位,表示一天二十四小时中的某一个。 - 세 시.
- 오전 아홉 시.
- 오후 여섯 시.
- 정각 열 시.
- 몇 시인지 묻다.
- 지금이 몇 시인가요?
- 우리 다섯 시에 학교 앞에서 만나자.
- 지수는 오전 여덟 시까지 출근을 한다.
- 그들은 매일 아침 일곱 시에 함께 운동을 한다.
2.时,时候 2. 어떤 일이 일어날 때나 경우. 事情发生的时间或情况。 - 규정 위반 시.
- 보험 가입 시.
- 법규를 위반할 시.
- 비행 시.
- 사고 발생 시.
- 세금 미납 시.
- 불이 났을 시에는 즉시 119에 신고하십시오.
- 여기서 통화 시에 다른 사람을 위해 조용히 해 주세요.
- 이곳은 금연 구역이기 때문에 흡연 시에는 벌금을 물어야 한다.
唏 서양 음악에서 장음계의 일곱 번째 계이름. 西方音乐中长音阶的第七音阶的音名。 - 시 음을 내다.
- 시를 치다.
- 이 합창곡에서 알토는 낮은 시 음을 주로 낸다.
- 나는 피아노 건반의 시와 솔을 함께 눌러서 화음을 만들었다.
- 피아니스트가 시를 친다는 것이 도를 쳐서 다른 악기들과 어울리지 않는 소리를 냈다.
- 全部参考
- 어두음이 된소리나 거센소리 또는 ‘ㅎ’이고 첫음절의 모음이 ‘ㅓ, ㅜ’인 색채를 나타내는 일부 형용사 앞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매우 짙고 선명하게'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前缀。指“非常浓艳而鲜明地”。 - 全部参考
- 친족 관계를 나타내는 일부 명사 앞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남편의'의 뜻을 나타내는 접두사. 前缀。指“丈夫的”。 - 시누이
- 시동생
- 시부모
- 시아버지
- 시아주버니
- 시어른
- 시어머니
- 全部参考
- ‘이다’,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와 형용사 뒤에, 다른 어미 앞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1.(无对应词汇) 1. 어떤 동작이나 상태의 주체를 높이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 语尾。表示对某个动作或状态主体的尊敬。 - 이분은 승규의 선생님이십니다.
- 과장님께서는 어디 가셨습니까?
- 할아버지께서는 언제 돌아오시니?
- 가: 선생님, 지금 바쁘세요?
나: 아냐. 무슨 일이니? 2.(无对应词汇) 2. 높이고자 하는 인물과 관계된 소유물이나 신체의 일부가 문장의 주어일 때 그 인물을 높이는 뜻을 나타내는 어미. 语尾。当所有物或身体部分为句子主语时,表示对其所有者的尊敬。 - 손님, 손이 정말 하얗고 예쁘세요.
- 할머니께서는 허리가 자주 아프시다.
- 아버지는 키가 크신데 나는 키가 작다.
- 가: 따님이 아주 미인이시네요.
나: 그렇게 봐 주니 고맙네. - 全部参考
- 일부 명사 뒤에 붙는다.
- 词类
- 「접사」 词缀
(无对应词汇) '그렇게 여김' 또는 '그렇게 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 后缀。指“看作是那样”或“那样看”。 - 도외시
- 동일시
- 등한시
- 문제시
- 야만시
- 의문시
- 적대시
- 죄악시
- 중요시
- 확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