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全部参考
-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无对应词汇) (두루낮춤으로) 뜻밖의 사실에 놀라서 되묻거나 감탄할 때 쓰는 종결 어미. (普卑)终结语尾。表示对意外事实惊讶之余的再次询问或感叹。 - 네가 몇 년 동안 찾던 사람이 바로 나라니!
- 이렇게 양도 많고 맛있는 음식이 천 원이라니!
- 지수는 아직 어려 보이는데 벌써 아이가 둘이라니!
- 가: 평소에 나를 많이 도와주셨던 분이 너희 어머니시라니!
나: 참 신기하다. 그러고 보면 세상 참 좁구나. - 全部参考
- ‘이다', '아니다’,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无对应词汇) (아주낮춤으로)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高卑)终结语尾。表示将某事看作既定事实,为此提出疑问。 - 그게 집착이지 어떻게 사랑이라니?
- 금방 붙잡힐 것을 어디서 도망이라니?
- 가: 이 컴퓨터는 또 고장이네.
나: 그건 왜 요즘 쓸 때마다 말썽이라니? - 가: 아니 쉬운 방법을 두고 왜 어려운 방법으로 일을 했대?
나: 그러게, 누가 아니라니? 1.(无对应词汇) 1. 들은 설명이나 서술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놀라거나 감탄함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对于听到的说明或陈述,说话人感到惊讶或感叹。 - 갑자기 우리 딸에게 교통사고라니 그게 무슨 소리야!
- 여기 증거가 있는데 네가 범인이 아니라니 그게 말이 되니?
- 확인도 안 해보고 결과물이 엉터리라니 너무한 것 아닙니까?
- 가: 형 미워! 형 나빠! 형은 바보야!
나: 형보고 바보라니 그런 말이 어디 있어! 参考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라고 하다니'가 줄어든 말이다. - 参考词
- -ㄴ다니3, -는다니3, -다니3
2.(无对应词汇) 2. 들은 설명이나 서술이 판단의 근거임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听到的说明或陈述是判断的依据。 - 회의에서 결정한 사안이라니 우리도 모두 따르겠습니다.
- 너희 어머니께서 선생님이시라니 그래서 그런 말투로 말씀을 하시는구나.
- 이른 시간에 찾아와서 죄송하지만 그나마 제가 잠을 깨운 건 아니라니 다행입니다.
- 가: 여기가 저의 고향입니다.
나: 이렇게 자연에 둘러싸인 곳이 고향이라니 자네가 도시를 답답해 하는 이유를 알겠네. 参考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라고 하니'가 줄어든 말이다. - 参考词
- -ㄴ다니3, -는다니3, -다니3
3.(无对应词汇) 3. 들은 명령이나 부탁의 내용에 대해 말하는 사람이 놀라거나 감탄함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对于听到的命令或请求,说话人感到惊讶或感叹。 - 우리끼리 이 많은 일을 다 하라니 말도 안 돼!
- 갑자기 내일 출장을 가라니 이런 법이 어디 있어?
- 무조건 자기 명령에 따르라니 너무 강압적인 것 아냐?
- 가: 민준아, 빨리 뛰어!
나: 보자마자 나보고 다짜고짜 뛰라니 무슨 일이야? 参考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라고 하다니’가 줄어든 말이다. - 参考词
- -으라니1
4.(无对应词汇) 4. 들은 명령이나 부탁이 판단의 근거임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听到的命令或请求是判断的依据。 - 저는 승규가 나오라니 나갔을 뿐입니다.
- 교수님께서 이 연구는 그만두라니 그렇게 하자.
- 그의 이론을 이해하려면 이 책을 꼭 보라니 같이 보고 공부하자.
- 가: 너는 무슨 생각으로 중요한 서류를 확인도 안 하고 아무에게나 넘겨 준 거야?
나: 미안해. 나는 너무나 당연하게 서류를 달라니 의심 없이 준 거지. 参考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라고 하다니’가 줄어든 말이다. - 参考词
- -으라니1
1.(无对应词汇) 1. (두루낮춤으로) 다른 사람이 말한 내용에 대해 듣는 사람에게 물어볼 때 쓰는 표현. (普卑)表示向听话人询问他人所说的内容。 - 그건 어떤 맛이라니?
- 그 사람이 너에게 뭐라니?
- 유민이는 생일이 언제라니?
- 승규가 말했던 책이 이 책이 아니라니?
- 민준이가 유학을 가는 나라가 어떤 나라라니?
- 가: 친구가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이라니?
나: 김치찌개라고 해요. 参考 ‘이다’, ‘아니다’ 또는 ‘-으시-’, ‘-더-’, ‘-으리-’ 뒤에 붙여 쓴다. '-라고 하니'가 줄어든 말이다. - 参考词
- -ㄴ다니4, -는다니4, -다니4
2.(无对应词汇) 2. (두루낮춤으로) 다른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한 명령의 내용을 물을 때 쓰는 표현. (普卑)表示向听话人询问他人所命令的内容。 - 지수가 자료를 보여 달라니?
- 그쪽에서 이 서류를 검토하라니?
- 선생님께서 너더러 심부름을 가라니?
- 박 부장이 회의록을 꼼꼼히 기록하라니?
- 단장이 공연에 필요한 소품을 준비하라니?
参考 받침이 없거나 ‘ㄹ’ 받침인 동사 또는 ‘-으시’ 뒤에 붙여 쓴다. '-라고 하니'가 줄어든 말이다. - 参考词
- -으라니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