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뜬[뜬], 떠[떠듣기], 뜨니[뜨니듣기], 뜹니다[뜸니다듣기]
- 派生词
- 띄우다4
- 词类
- 「형용사」 形容词
1.慢,缓慢 1. 행동 등이 느리고 걸리는 시간이 오래다. 行动等不迅速,花的时间很长。 - 동작이 뜨다.
- 발이 뜨다.
- 발육이 뜨다.
- 손이 뜨다.
- 행동이 뜨다.
- 조교가 동작이 뜬 훈련병들에게 빨리 움직이라고 호통을 쳤다.
- 오랜만에 골프를 치니 손이 떠서 뜻대로 잘 되지 않았다.
- 가: 민준이는 걸음이 너무 느려.
나: 응, 그 녀석은 걸음이 떠서 같이 다니면 답답해. 2.迟钝,反应慢 2. 감수성이 둔하다. 感觉钝化。 - 감수성이 뜨다.
- 감정이 뜨다.
- 눈치가 뜨다.
- 승규는 눈치가 뜬 편이라 주위 사람들을 종종 곤란하게 했다.
- 감정이 뜬 친구는 아무리 감동적인 이야기를 들어도 무덤덤했다.
- 가: 저렇게 눈치가 뜬 사람이 다 있냐.
나: 그러게. 어떻게 눈치를 못 챌 수가 있지? 3.话少,沉默寡言 3. 말수가 적다. 话说得不多。 - 말이 뜨다.
- 입이 뜨다.
- 우리 아버지는 원래 말이 뜬 분이셔서 꼭 필요한 말만 하신다.
- 민준이는 워낙 말이 뜨기 때문에 그가 수다 떠는 모습은 상상하기가 어려웠다.
- 가: 쟤는 말을 잘 안 하니까 무슨 생각을 하는지 잘 모르겠어.
나: 응, 입이 너무 떠서 답답할 정도야. 4.钝 4. 칼날 등이 날카롭지 못하다. 刀刃等不锋利。 - 날이 뜨다.
- 도끼날이 뜨다.
- 작두가 뜨다.
- 칼이 뜨다.
- 작두가 떠서 곡식이 잘 잘리지 않았다.
- 부엌칼이 떠서 야채가 잘 썰리지 않는다.
- 가: 칼날이 떠 버렸네.
나: 네, 그래서 다시 날카롭게 갈려고요. 5.不够热 5. 다리미나 인두 등의 금속이 잘 달구어지지 않는 상태이다. 熨斗或烙铁等的金属尚未充分变热的状态。 - 쇠가 뜨다.
- 이 다리미는 쇠가 떠서 다림질을 하기가 어렵다.
- 오래된 다리미가 떠서 옷감이 잘 다려지지 않았다.
- 가: 이 인두는 별로 좋지 않네요.
나: 네, 인두가 떠서 잘 달궈지지도 않아요. 6.遥远 6. 공간적인 거리가 꽤 멀다. 空间上的距离非常大。 - 거리가 뜨다.
- 사이가 뜨다.
- 우리 집에서 시내까지는 거리가 떠서 걸어갈 수 없다.
- 두 마을의 사이가 떠서 주민들은 주로 차를 타고 이동했다.
- 가: 유민이를 자주 보니?
나: 아니, 그 애와 나는 같은 지역이라도 거리가 떠서 자주 보기 힘들어. 7.排车少,间隔长 7. 시간적인 길이가 오래다. 时间上的距离很长。 - 교통편이 뜨다.
- 버스가 뜨다.
- 이 동네에는 버스가 떠서 앞으로 한 시간은 족히 기다려야 한다.
- 그 지역은 교통편이 떠서 대중교통보다는 자가용 승용차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가: 이 주변에는 버스가 잘 안 오네요.
나: 네, 변두리라서 교통편이 좀 뜬 편이에요.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派生词
- 띄우다2
- 词类
- 「동사」 动词
1.漂,浮 1. 물 위나 공중에 있거나 위쪽으로 솟아오르다. 在水面上或空中,或向上涌起。 - 하늘에 떠 있다.
- 해가 뜨다.
- 달이 뜨다.
- 물 위로 뜨다.
- 수면으로 뜨다.
- 공중에 뜨다.
- 물에 뜨다.
- 하얀 연꽃이 연못 위에 떠 있었다.
- 나는 밤하늘에 뜬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었다.
- 비행기가 커다란 소리를 내며 하늘 위로 떠서 날아갔다.
- 가: 저기 바다 위로 떠서 다니는 게 뭐지?
나: 무슨 유리병 같은데? 2.翘起 2. 어디에 착 달라붙지 않아 틈이 생기다. 不紧贴在某处,而是生出缝隙。 - 도배지가 뜨다.
- 벽지가 뜨다.
- 사이가 뜨다.
- 장판이 뜨다.
- 도배를 잘못하는 바람에 벽지가 다 뜨고 말았다.
- 나는 봉투의 뜬 부분을 손으로 눌러 보았지만 잘 붙지 않았다.
- 가: 장판은 다 떠 있고 벽에는 곰팡이가 가득한데 이런 데서 어떻게 살아?
나: 장판은 뜨지 않게 다시 깔고 도배도 새로 하면 새 집이나 다름없어. 3.兴奋 3. (비유적으로) 차분하지 못하고 어수선하게 들뜬 상태가 되다. (喻义)不沉着,变得心浮气躁,显得很凌乱。 - 마음이 뜨다.
- 분위기가 뜨다.
- 방방 뜨다.
- 붕 뜨다.
- 우리는 여행을 갈 생각에 마음이 떠서 일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 지수는 무슨 좋은 일이라도 있는지 방방 떠서는 온 동네를 돌아다녔다.
- 가: 이 반은 분위기가 붕 뜬 게 영 수업 분위기가 좋지 않아.
나: 그래서 그 반은 시험 성적도 별로 안 좋아. 4.飞,掉 4. 빌려준 것을 돌려받지 못하다. 借出的东西收不回来。 - 돈이 뜨다.
- 김 씨가 내게 빌려 간 돈을 갚지 않자 나는 그 돈은 떴다 생각하기로 했다.
- 가: 지수가 나한테 가방을 빌려 가서는 아직까지 안 돌려줬어.
나: 그 가방은 이미 뜬 거니까 돌려받는 건 포기해. 5.现身 5. (속된 말로) 두렵거나 무서운 사람이 어떤 장소에 모습을 나타내다. (粗俗)畏惧或害怕的人出现在某个场所。 - 감시관이 뜨다.
- 경찰이 뜨다.
- 선생님이 뜨다.
- 골목에 뜨다.
- 현장에 뜨다.
- 무서운 호랑이 선생님이 교실에 떴다.
- 경찰이 떴다는 소리에 도박장에 있던 사람들이 도망을 쳤다.
- 사람들은 시장에 김 씨만 떴다 하면 모두들 두려움에 떠는 것이었다.
- 가: 다음 주 중으로 감사가 뜬다니까 조심하라고.
나: 감사에 걸릴 만한 자료들을 빨리 감춰야겠네요. 6.出名,变红 6. (속된 말로) 인기를 얻어 유명해지다. (粗俗)受欢迎而变得有名。 - 뜨는 가수.
- 뜨는 배우.
- 뜨는 책.
- 뜨기 시작하다.
- 뒤늦게 뜨다.
-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최근 뜨는 책들을 모아 소개했다.
- 그 배우는 겸손하고 성실하기로 소문이 났지만 뜬 뒤로는 태도가 확 달라졌다.
- 가: 이 노래가 요즘 제일 뜨는 노래야.
나: 그래? 어쩐지 라디오에서 자주 나오더라. - 发音
- [뜨다]
- 活用
- 뜬, 떠, 뜨니, 뜹니다[뜸니다]
- 派生词
- 띄우다
- 词类
- 「형용사」 形容词
1.행동이 느리다. - 걸음이 뜨다.
- 동작이 뜨다.
- 진행이 뜨다.
- 행동이 뜨다.
- 시상식의 진행이 떠서 재미가 없고 지루하다.
- 동작이 뜬 아들이 군대에 가서 잘 적응할 수 있을지 걱정이다.
2.감각이 둔하다. - 감각이 뜨다.
- 감정이 뜨다.
- 눈치가 뜨다.
- 나는 감정이 떠서 슬픈 영화를 봐도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
- 유민이는 눈치가 뜬 편이라 누가 자기를 좋아하는지도 잘 모른다.
3.들은 말을 함부로 하지 않고 말수가 적다. - 말이 뜨다.
- 입이 뜨다.
- 승규는 말이 뜨고 어른스러워서 믿을 만하다.
- 나는 입이 뜬 몇몇 친구에게만 나의 속마음을 털어놓는다.
4.날이 무디다. - 가위가 뜨다.
- 날이 뜨다.
- 칼이 뜨다.
- 가위가 떠서 종이도 잘 안 잘린다.
- 뜬 칼을 갈았더니 마치 새것처럼 잘 든다.
5.쇠붙이가 열에 민감하지 않다. - 다리미가 뜨다.
- 쇠가 뜨다.
- 인두가 뜨다.
- 다리미가 오래되어서 쇠가 뜨니 새것을 사야겠다.
- 다리미의 밑판이 떠서 옷이 제대로 다려지지 않는다.
6.경사가 급하지 않다. - 경사가 뜨다.
- 비탈이 뜨다.
- 이 산은 경사가 떠서 오르기에 어렵지 않다.
- 눈이 온 뒤에는 미끄러우니 뜬 비탈이라도 조심해서 내려가야 한다.
7.거리가 멀다. - 거리가 뜨다.
- 사이가 뜨다.
- 틈이 뜨다.
- 책장과 벽 사이의 틈이 떠서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이다.
- 집에서 회사까지 거리가 떠서 차로 한 시간 넘게 걸린다.
8.시간의 사이가 오래다. - 기간이 뜨다.
- 소식이 뜨다.
- 차가 뜨다.
- 유학 간 친구로부터 소식이 떠서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하다.
- 막차 시간이 되어 가니 버스가 떠서 이십 분 가까이 기다려야 했다.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派生词
- 띄우다3
- 词类
- 「동사」 动词
1.腐烂,腐坏 1. 쌓인 짚이나 풀 등이 썩거나 누렇게 시들다. 堆积着的秸秆或草等变腐或变黄。 - 시금치가 뜨다.
- 잎이 뜨다.
- 퇴비가 뜨다.
- 누렇게 뜨다.
- 마당 한쪽에 쌓아 놓은 짚들이 뜨고 말라 버렸다.
- 사 놓은 지 오래된 파가 누렇게 시들어서 떠 버렸다.
- 가: 김 씨, 거름이 제대로 떴어.
나: 그래? 이제 비료로 쓸 수 있겠구먼. 2.发霉 2. 누룩이나 메주 등이 발효하다. 酒母或酱曲等发酵。 - 곰팡이가 뜨다.
- 누룩이 뜨다.
- 메주가 뜨다.
- 방 안은 메주가 뜨는 퀴퀴한 냄새로 가득 찼다.
- 할머니는 올해 뜬 메주를 서늘한 곳에 두어 바짝 말리셨다.
- 가: 이런, 식빵에 곰팡이가 떴네.
나: 아깝지만 버려야겠다. 3.浮肿,黄肿 3. 병 때문에 얼굴이 붓고 누렇게 되다. 因病而脸部肿起发黄。 - 얼굴이 뜨다.
- 얼굴색이 뜨다.
- 열에 뜨다.
- 노랗게 뜨다.
-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들은 먹을 것이 없어 누렇게 뜬 상태였다.
- 오랜 병중에 계신 아버지는 몸이 많이 야위시고 얼굴이 누렇게 뜨셨다.
- 가: 어제 할머니 병문안은 잘 다녀왔니?
나: 응. 몸이 퉁퉁 부으시고 검누렇게 뜨신 모습이 너무 마음 아팠어.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词类
- 「동사」 动词
1.离开 1. 있던 곳에서 다른 곳으로 떠나다. 从原来的地方出发去别的地方。 - 고향을 뜨다.
- 직장을 뜨다.
- 고향에서 뜨다.
- 동네에서 뜨다.
- 자리에서 뜨다.
- 지난밤 승규는 자기 몫의 돈을 챙겨 들고 신세 지던 친구 집에서 떴다.
- 젊은이들은 일자리를 찾아 모두 고향을 뜨고 동네에는 노인들만 남았다.
- 가: 나는 그저 남몰래 이 마을을 뜨면 그만이야.
나: 정말 그래? 이곳에서의 추억은 너에게 아무것도 아니야? 2.去世,离世 2. 죽어서 세상을 떠나다. 死亡而离开人世。 - 세상을 뜨다.
- 이승을 뜨다.
- 병으로 뜨다.
- 사랑하는 할아버지께서 지난밤 조용히 세상을 뜨셨다.
- 아버지께서 이승을 뜨신 이후 지수는 한동안 우울한 모습으로 지냈다.
- 가: 저 여자는 옷매무새가 말이 아닌 것이 꼭 실성한 사람 같네요.
나: 아이가 사고로 세상을 뜬 이후에 저렇게 넋을 놓고 지낸대요.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词类
- 「동사」 动词
1.取,卸 1. 큰 덩이에서 일부를 떼어 내다. 从大块儿上弄下一部分。 - 떼를 뜨다.
- 모를 뜨다.
- 반죽을 뜨다.
- 얼음장을 뜨다.
- 승규는 산 밑에서 떼를 떠서 할아버지의 무덤에 입혔다.
- 형은 자기 밥그릇에서 밥을 한 숟가락 크게 떠서 동생의 밥그릇에 올려 주었다.
- 가: 오늘 점심은 수제비를 떠서 먹을까?
나: 와! 맛있겠다! 내가 가서 밀가루 반죽을 가져올게. 2.捞 2. 물속에 있는 것을 건져 올리다. 把水中的东西弄上来。 - 면을 뜨다.
- 수제비를 뜨다.
- 국자로 뜨다.
- 그물로 뜨다.
- 지수는 숟가락으로 국의 건더기를 떠서 후루룩 먹었다.
- 민준은 만둣국의 국물은 마시지 않고 만두만 떠서 먹었다.
- 가: 저기 물속에서 뭔가가 반짝거려.
나: 혹시 진주 아냐? 저 삽으로 떠서 가져와 봐. 3.盛 3. 어떤 곳에 담겨 있는 물이나 가루를 퍼내거나 덜어 내다. 把在某个地方的水或粉末舀或拿出来。 - 술을 뜨다.
- 쌀을 뜨다.
- 여물을 뜨다.
- 한 바가지를 뜨다.
- 대접에 국을 뜨다.
- 물독에서 물을 뜨다.
- 항아리에서 간장을 뜨다.
- 일꾼들이 흙더미에서 삽으로 흙을 떠 날랐다.
- 이 음식점은 밥을 다 먹고 나면 후식으로 숭늉 한 그릇을 떠서 준다.
- 가: 할아버지 세숫물을 떠 놓았니?
나: 앗! 깜빡했어요. 얼른 물 받아 놓을게요. - 句型
- 1이 2에서 3을 뜨다, 1이 2에 3을 뜨다
4.夹,尝 4. 수저 등으로 음식을 퍼서 조금 먹다. 用勺筷等将食物盛出来吃上一点。 - 두어 술 뜨다.
- 아침밥을 뜨다.
- 첫 수저를 뜨다.
- 한술 뜨다.
- 숟가락으로 뜨다.
- 심한 감기 몸살 환자가 밥을 몇 술 뜨다가 숟가락을 놓았다.
- 지수는 미음을 조금 뜨다 말고 다시 헛구역질을 하기 시작했다.
- 가: 왜 두어 술 뜨다가 말아. 조금 더 먹어 봐.
나: 입맛이 없어서 더는 못 먹겠어. 5.片(肉片) 5. 고기 등을 얇게 여러 조각으로 베어 내다. 将肉等薄薄地切成很多片。 - 고기를 뜨다.
- 육회를 뜨다.
- 편육을 뜨다.
- 포육을 뜨다.
- 회를 뜨다.
- 얇게 뜨다.
- 정육점 아저씨가 소 뒷다리를 각을 떴다.
- 방금 잡은 물고기로 뜬 생선회가 싱싱하고 맛있었다.
- 가: 저 녀석이 각을 뜰 돼지야?
나: 응. 잡은 지 얼마 안 되었어. 6.模仿,拓, 打(纸型、铅板等) 6. 종이나 김 등을 틀에 펴서 낱장으로 만들어 내다. 将纸或紫菜等铺在模具里做成单张。 - 김을 뜨다.
- 종이를 뜨다.
- 한지를 뜨다.
- 틀로 뜨다.
- 한지는 틀에 하나씩 떠서 만드는 한국 고유의 종이이다.
- 옛날에는 일일이 사람의 손으로 김을 한 장씩 떠서 말렸다.
- 가: 지수야. 채집한 김은 어떻게 했니?
나: 어머니께서 손수 뜨신다고 하셔서 가져다 드렸어요. 7.扯 7. 큰 천에서 옷을 만들 만큼만 자르거나 끊어 내다. 在一块大布上裁剪下可做衣服的大小。 - 광목을 뜨다.
- 명주를 뜨다.
- 베를 뜨다.
- 비단을 뜨다.
- 포목점에서 뜨다.
- 커튼 장수는 새 커튼을 만들 천을 떠 왔다.
- 어머니는 설빔을 마련하시려고 새벽 시장에서 옷감을 떠 오셨다.
- 가: 옷감 보려고 오셨어요?
나: 네. 딸아이 혼숫감으로 옷감을 좀 떠 가려고요.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派生词
- 뜨이다
- 词类
- 「동사」 动词
1.睁,睁开 1. 감았던 눈을 벌리다. 张开闭着的眼睛。 - 감은 눈을 뜨다.
- 눈을 뜨다.
- 눈을 게슴츠레 뜨다.
- 눈을 동그랗게 뜨다.
- 눈을 크게 뜨다.
- 바람이 심하게 불어서 도저히 눈을 뜨고 있을 수가 없었다.
- 지수는 감은 눈을 떴지만 주위가 어두워 아무것도 볼 수가 없었다.
- 감기약에 취한 그는 게슴츠레하게 겨우 눈을 떴지만 다시 잠이 들었다.
- 자, 검사를 시작하겠습니다. 삼 초 동안 눈을 크게 뜨고 여기를 봐 주세요.
- 가: 왜 두 눈을 동그랗게 뜨고 있어?
나: 방금 승규한테 아주 놀라운 얘기를 들었거든. 2.圆睁,眯缝 2. 눈을 특별한 모양이 되게 벌리다. 原本睁开的眼睛做出奇异的形状。 - 가자미눈을 뜨다.
- 도끼눈을 뜨다.
- 새우 눈을 뜨다.
- 실눈을 뜨다.
- 눈을 감으라는 선생님의 말에 지수는 실눈을 뜨고 선생님의 눈치를 살폈다.
- 어머니는 술에 취해 늦게 오신 아버지에게 도끼눈을 뜨고 잔소리를 퍼부으셨다.
- 가: 지수가 하루 종일 가자미눈을 뜨고 승규를 흘겨보고 있네.
나: 승규에게 화가 많이 났나 봐. 惯用语·谚语1 - 谚语
- 뜨고도 못 보는 당달봉사
睁眼瞎 어수룩하여 두 눈으로 뻔히 보고도 제대로 잘 알지 못하는 사람. 指傻傻地睁大眼睛,也看不清事情真相的人。 - 김 씨는 그들이 사기꾼인지 알면서도 사기를 당하는 뜨고도 못 보는 당달봉사였다.
- 가: 그런 바보 같은 거짓말에 속다니 뜨고도 못 보는 당달봉사가 따로 없구나.
나: 작정하고 속이려고 드는 건 어쩔 수 없지.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词类
- 「동사」 动词
1.织,打 1. 실이나 끈으로 옷이나 그물 등을 짜서 만들다. 用线或绳等编做成衣服或网。 - 그물을 뜨다.
- 그물코를 뜨다.
- 돗자리를 뜨다.
- 레이스를 뜨다.
- 목도리를 뜨다.
- 옷을 뜨다.
- 손뜨개질로 뜨다.
- 이 돗자리는 장인이 손수 뜬 작품이어서 값이 비싸다.
- 지수는 애인에게 줄 크리스마스 선물로 장갑을 뜨는 중이다.
- 가: 이거 입어 봐. 내가 직접 뜬 스웨터야.
나: 우와! 정말 정성이 대단하다! 고마워. 2.缝,缭 2. 바늘로 옷감 등을 꿰매다. 用针缝补衣料等。 - 땀을 뜨다.
- 옷의 단을 뜨다.
- 터진 데를 뜨다.
- 한두 바늘을 뜨다.
- 유민은 털옷의 찢어진 데를 바느질로 떠서 수선했다.
- 할머니께서 돋보기안경을 쓰시고 구멍 난 양말을 한 땀씩 뜨고 계신다.
- 가: 이것 봐. 옷의 옆단이 터져 버렸어.
나: 그거 금방 손볼 수 있을 것 같아. 내가 떠 줄 테니 반짇고리를 가져와 봐. 3.刺,纹 3. 먹물을 묻힌 실로 살갗에 그림이나 글씨를 그려 넣다. 用蘸了墨汁的线在皮肤上绘上画或字。 - 글씨를 뜨다.
- 문신을 뜨다.
- 먹으로 뜨다.
- 그 남자의 등에는 용 그림의 문신이 떠 있었다.
- 지수 커플은 사랑의 증표로 팔목에 같은 글씨를 떴다.
- 가: 문신을 뜨면 많이 아프겠지?
나: 아무래도 살에 그림을 새기는 거니까.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词类
- 「동사」 动词
1.复制,拓印 1. 어떤 물체와 똑같은 모양으로 베껴서 만들거나 찍어 내다. 仿写或复印得与原物一模一样。 - 도면을 뜨다.
- 도안을 뜨다.
- 모형을 뜨다.
- 본을 뜨다.
- 주물을 뜨다.
- 틀로 뜨다.
- 종이에 뜨다.
- 고고학자가 얇은 종이를 비석에 대고 탁본을 떴다.
- 이 청동 도구들은 모두 모형 틀로 떠서 제조한 물품들이다.
- 가: 이 음식점은 배 모양으로 생겼네. 멋진걸.
나: 응. 큰 배의 모형을 그대로 떠서 만들었대. 2.录制 2. 녹화하거나 녹화물을 복사하다. 录像或复制录像。 - 비디오를 뜨다.
- 영상을 뜨다.
- 테이프를 뜨다.
- 매니저가 연습생의 춤이 녹화된 비디오테이프를 여러 개로 뜨고 있다.
- 가수 지망생은 자신이 작곡한 노래의 데모 테이프를 떠서 기획사에 보냈다.
- 가: 웬 시디를 이렇게 많이 샀어?
나: 응. 내 춤과 노래를 녹화한 영상을 떠서 오디션에 한번 보내 보려고.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词类
- 「동사」 动词
试探 상대편의 속마음을 알아보려고 가만히 어떤 말이나 행동을 하다. 为了解对方的心思,在对方不察觉地情况下说或做出某种行为。 - 사람을 뜨다.
- 속을 뜨다.
- 속마음을 뜨다.
- 말로 뜨다.
- 슬쩍 뜨다.
- 유민이는 평소 좋아하던 선배의 마음을 떠 달라고 친구에게 부탁했다.
- 지수는 승규를 뜨려고 시도해 보았지만 승규는 속을 쉽게 내보이지 않았다.
- 가: 승규가 내 선물을 마음에 들어 하는지 잘 모르겠어.
나: 내가 한번 슬쩍 떴는데, 승규도 좋아하는 것 같았어. - 发音
- [뜨다듣기]
- 活用
- 떠, 뜨니
- 词类
- 「동사」 动词
做(艾灸) 병을 낫게 하기 위하여 약쑥을 비벼 몸의 혈 위에 놓고 불을 붙여 태우다. 为了治病,点燃搓捻艾叶制成的艾炷来熏烤人体的穴位。 - 뜸을 뜨다.
- 쑥뜸을 뜨다.
- 며칠 동안 두통이 심했는데 뜸을 뜨고 나니 머리가 개운해졌다.
- 한의사들은 환자의 몸에 뜸을 뜨거나 침을 놓아 환자들을 치료한다.
- 할머니께서는 산에서 직접 뜯어 오신 쑥으로 우리에게 뜸을 떠 주셨다.
- 가: 지난 주에 발목을 삐끗했는데 잘 안 낫네.
나: 저런, 한의원에 가서 뜸을 떠 보는 게 어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