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陆地,大陆
1. 지구에서 물로 된 부분이 아닌 흙이나 돌로 된 부분.
地球上除水以外,由土或石头构成的部分。
- 하늘과 땅.
- 낮은 땅.
- 넓은 땅.
- 드넓은 땅.
- 좁은 땅.
- 땅이 광활하다.
- 땅이 굳다.
- 땅이 꺼지다.
- 땅이 넓다.
- 땅이 흔들리다.
- 땅을 고르다.
- 땅을 파내다.
- 땅을 파다.
- 땅에 구르다.
- 땅에 내려놓다.
- 땅에 대다.
- 땅에 드러눕다.
- 땅에 떨어뜨리다.
- 땅에 떨어지다.
- 땅에 묻다.
- 땅에 묻히다.
- 땅에 뿌리다.
- 땅에 심다.
- 땅에 앉다.
- 땅에 주저앉다.
- 땅에서 나다.
- 땅에서 솟다.
- 땅에서 솟아오르다.
- 남자들은 땅을 파고 죽은 사람을 묻었다.
- 가을이 되자 마른 잎들이 땅으로 떨어졌다.
- 우리는 땅에 나무와 꽃을 심고 물을 주었다.
- 가: 땅이 흔들리는 것 같아.
나: 정말. 지진인가 봐.
2.国土,领土,疆域
2. 한 나라의 영토.
一个国家的疆土。
- 고국 땅.
- 외국 땅.
- 우리 땅.
- 이국 땅.
- 자기 땅.
- 조국 땅.
- 한국 땅.
- 땅을 넓히다.
- 땅을 되찾다.
- 땅을 떠나다.
- 땅을 정복하다.
- 땅을 차지하다.
- 땅을 찾다.
- 땅에서 내쫓다.
- 땅에서 태어나다.
- 예전에 그 나라는 우리 땅을 강제로 지배했다.
- 옛날에는 땅을 넓히기 위해 많은 나라들이 전쟁을 했다.
- 문제가 되고 있는 이곳을 한국 땅이라고 주장할 수 있는 근거를 찾았다.
- 내가 태어나고 자란 이 땅을 떠나 외국으로 간다고 생각하니 서운한 생각이 들었다.
- 그 왕은 자기 나라 땅에 가장 좋은 약이 있는 줄 모르고 다른 나라에서만 약을 찾았다.
- 가: 유학 생활은 어때?
나: 외국 땅에서 생활한다는 게 쉽지는 않네.
3.地区,土地
3. 지역이나 지방.
地域或地方。
- 고향 땅.
- 서울 땅.
- 낯선 땅.
- 땅을 떠나다.
- 땅을 밟다.
- 땅을 찾다.
- 땅에 살다.
- 땅에서 내쫓다.
- 땅으로 가다.
- 땅으로 돌아오다.
- 나는 이곳 부산 땅을 벗어나고 싶어 무작정 기차에 올라탔다.
- 도시에 나가 성공한 다음 꼭 다시 고향 땅으로 돌아오겠습니다.
- 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서울 땅을 밟아 본 기분이 어때?
나: 아, 서울은 공기부터가 다르구나.
4.地皮,宅基地,土地
4. 건물을 짓거나 농사를 지으며 생활할 수 있는 자리.
可建房或种地而生活的地方。
- 개인 땅.
- 금싸라기 땅.
- 농사지을 땅.
- 버려진 땅.
- 빈 땅.
- 죽은 땅.
- 땅 부자.
- 땅 투기.
- 땅을 가지다.
- 땅을 갈다.
- 땅을 개간하다.
- 땅을 개척하다.
- 땅을 경작하다.
- 땅을 나누다.
- 땅을 내놓다.
- 땅을 놀리다.
- 땅을 되찾다.
- 땅을 매각하다.
- 땅을 매입하다.
- 땅을 사다.
- 땅을 일구다.
- 땅을 차지하다.
- 땅을 팔다.
- 급하게 돈이 필요해서 아버지께 물려받은 땅을 팔기로 했다.
- 인구는 자꾸 늘어나는데 집을 지을 땅이 부족해서 문제이다.
- 가: 요즘 땅값이 많이 떨어졌더라.
나: 응. 그렇지 않아도 땅을 좀 사서 건물을 지으려고 했는데 잘됐어.
5.土,土地,土层
5. 흙. 또는 흙의 성질.
土壤或指土壤的特性。
- 기름진 땅.
- 메마른 땅.
- 비옥한 땅.
- 질척한 땅.
- 땅이 부드럽다.
- 땅이 척박하다.
- 땅이 기름져서 무엇을 심어도 잘 자라겠다.
- 남자는 희망을 버리지 않고 메마른 그 땅에 삽질을 시작했다.
- 이곳은 땅이 비옥하고 물이 귀하지 않아 살기에 어려움이 없다.
6.地,立足之地,市场
6. 권리를 누리거나 일을 하며 지낼 수 있는 환경이나 기반.
可享受权利或做事而营生的环境或基础。
- 아무 준비도 없이 농산물을 수입하면 우리 농산물이 당장 설 땅을 잃게 된다.
- 회의 결과에서 불이익을 받게 된 사람들은 강하게 저항함으로써 스스로 설 땅을 찾았다.
- 갈수록 환경 보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환경에 무관심한 기업은 설 땅이 없어질 것이다.
7.世界,土地
7. 사회나 세상.
社会或天下。
- 그 과학자는 과학을 이 땅에 뿌리내리기 위한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 이번 재판은 이 땅에 법과 정의가 살아 있다는 것을 보여 줬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 김 교수의 책은 이 땅에서 추구되어야 할 민주주의가 어떤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 이 땅에서 근대 교육이 시작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여성들은 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