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全部参考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 词类
- 「어미」 语尾
(无对应词汇) (아주낮춤으로) 어떤 결과가 자신이 예상한 대로 된 것에 대하여 근거를 대면서 말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高卑)终结语尾。表示某个结果跟自己预期的一样,以此为根据说话。 - 결국 차 사고가 났구나. 항상 차를 급하게 몰더라니.
- 오늘이 졸업식이었구나. 어쩐지 학교 입구부터 사람들이 많더라니.
- 승규가 요즘 때와 장소를 안 가리고 너무 나서더라니. 기어코 큰일을 냈군.
- 가: 오늘 계약하기로 한 사람이 어제부터 연락이 안 돼요.
나: 내 이럴 줄 알았다. 어째 아침부터 기분이 이상하더라니. - 全部参考
- ‘이다’, 동사와 형용사 또는 '-으시-', '-었-', '-겠-' 뒤에 붙여 쓴다.
1.(无对应词汇) 1. 말하는 사람이 이전에 들은 것을 전하며 놀람, 감탄, 분노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说话人转达以前听过的事情,来表达惊讶、感叹、愤怒等的情绪。 - 이 영화가 재미있더라니 난 전혀 이해가 안 되는걸.
- 그 애가 얼마나 예쁜데 예쁘지 않더라니 말도 안 돼.
- 우리가 이걸 얼마나 열심히 만들었는데 엉망이더라니 어떻게 그렇게 말할 수 있어?
- 가: 난 김선생님이 설명해 준 게 이해가 안되더라.
나: 그 설명이 이해가 안 되더라니 그것보다 더 쉽게 어떻게 설명하니? 2.(无对应词汇) 2. 말하는 사람이 듣거나 알게 된 어떤 상황을 설명함을 나타내는 표현. 表示说话人说明听到或得知的某个情况。 - 남쪽 지역에는 벌써 꽃이 폈더라니 주말에 놀러 가요.
- 민준이가 그 학교 축제는 이미 끝났더라니 내년을 기대해야겠어.
- 지수가 이 책은 기대했던 것보다 재미가 없더라니 다른 책을 읽어야겠다.
- 가: 우리 퇴근하고 저녁은 어디서 먹을까요?
나: 회사 앞에 새로 생긴 식당의 음식이 맛있더라니 저녁은 거기서 먹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