释义 |
- 发音
- [대ː접듣기]
- 活用
- 대접이[대ː저비], 대접도[대ː접또], 대접만[대ː점만듣기]
- 词类
- 「명사」 名词
1.大碗 ,平碗 1. 국이나 물 등을 담는 데 쓰는 넓적한 그릇. 盛放汤或水等时使用的宽碗。 - 사발과 대접.
- 대접이 움푹하다.
- 대접을 깨뜨리다.
- 대접을 쓰다.
- 대접에 담다.
- 대접에 담겨 있는 냉수가 무척 시원해 보인다.
- 어머니는 대접에 막걸리를 따라 아버지께 드렸다.
- 지수는 상을 들고 가다가 넘어지는 바람에 국을 담은 대접을 깨뜨리고 말았다.
- 가: 대접에 가득 차 있는 물을 다 마셨는데도 목이 마르네.
나: 더워서 그런 것 같아. 2.碗 2. 국이나 물 등을 넓적한 그릇에 담아 그 양을 세는 단위. 把汤或水等放到宽碗中而数其数量的单位。 - 물 한 대접.
- 동치미 한 대접.
- 막걸리 한 대접.
- 미역국 한 대접.
- 냉수 한 대접을 들이켜다.
- 해장국 한 대접을 먹다.
- 오늘 친구들과 함께 파전에다 막걸리 한 대접을 마셨다.
- 뜨끈한 숭늉 한 대접을 마셨더니 온몸이 따뜻해지는 것 같다.
- 아침에 건더기가 많이 든 북엇국 한 대접을 먹고 나왔더니 속이 든든하다.
- 가: 유민이는 술을 잘 마셔?
나: 응. 막걸리 열 대접을 마셔도 끄덕 없어. - 发音
- [대ː접듣기]
- 活用
- 대접이[대ː저비듣기], 대접도[대ː접또듣기], 대접만[대ː점만듣기]
- 派生词
- 대접하다
- 词类
- 「명사」 名词
1.接待,对待 1. 상대방이 마땅히 받아야 할 만한 예로 대함. 以对方理应受到的礼数来迎接招待。 - 극빈 대접.
- 사람 대접.
- 손님 대접.
- 어른 대접.
- 여왕 대접.
- 극진한 대접.
- 융숭한 대접.
- 대접을 받다.
- 대접을 하다.
- 유명한 한류 스타인 그는 일본에서 국빈 대접을 받았다.
- 지수는 이제 스무 살도 지났으니 어른 대접을 받고 싶었으나 부모님은 지수를 아직도 어린 애로만 여기셨다.
- 가: 네 부인 임신했다면서? 항상 몸조심하게 하고 네가 이것저것 잘 챙겨 줘.
나: 응, 요즘 그래서 여왕 대접 제대로 해 주고 있어. 2.款待,招待 2. 음식을 접대함. 以食物接待。 - 과일 대접.
- 술 대접.
- 식사 대접.
- 음식 대접.
- 거한 대접.
- 대접을 하다.
- 민준이는 아버지의 생신 때 거하게 식사 대접을 했다.
- 보고서 쓰는 것을 도와준 선배에게 승규는 술 대접을 할 생각이다.
- 가: 미리 말씀하고 오셨으면 찬이라도 준비했을 텐데. 대접이 변변치 못해 죄송합니다.
나: 아닙니다. 아주 맛있는데요. 잘 먹겠습니다. |